2010. 12. 2. 09:17ㆍ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위성사진 단독입수] K-9 자주포 반격, 엉뚱한 곳만 때렸다 | |
미국 전략정보전문기관 스트랫포, 누리집에 위성사진 공개 북한 방사포대 겨냥한 포탄 14발 모두 포대 뒤 논밭에 떨어져 “북한도 피해 클 것”이라던 정부 설명은 기대 섞인 추측일뿐 |
|
|||
미국의 전략정보전문기관인 스트랫포는 30일 미국 위성사진업체 ‘디지털글로브’가 포격 사흘 뒤인 26일 찍은 위성사진을 누리집에 공개했다. 연평도 북서쪽 16.7㎞ 지점에 위치한 북한군 BM-21 방사포대를 겨냥했던 한국군 자주포의 포탄 14발은 포대를 맞히지 못하고 모두 뒤쪽 논밭에 떨어진 흔적이 보인다. 이곳에 배치됐던 방사포 6문은 이미 다른 곳으로 옮겨진 듯하다. 작은 사진은 1일 국방부가 공개한 북한군 BM-21 방사포대의 모습이다.
|
||||||
스트랫포의 위성사진을 보면 북한의 해안포 진지가 타격을 입은 흔적을 발견하기 어렵다. 교전수칙에 따라 적절히 대응한 결과 북한 쪽도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을 것이라는 정부의 설명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23일 합동참모본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군은 교전수칙에 따라 할 만큼 했다”면서 “상대방 피해도 우리의 화력으로 보아 상당히 컸을 것으로 추측한다”고 말했다. 군 관계자들도 우리 군이 북한의 포격이 시작된 지 13분 뒤에 대응사격을 했으며 갱도 안에 위치해 타격이 어려운 해안포 대신 북한군 부대 막사를 포격했기 때문에 해안포를 운용하는 북한군 인원에 큰 피해를 줬을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었다.
하지만, 스트랫포의 사진은 이런 정부의 설명이 기대 섞인 추측에 가깝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실제 정부는 연평도 사태가 일어난 뒤 한국과 미국의 정보자산을 집중 운용해 북한 쪽 피해상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일주일이 지난 1일까지도 북한군의 구체적인 피해상황에 대한 자료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북한군이 별다른 피해를 입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인민군 포병 출신 탈북자의 증언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북한 강원도 김화군의 포병 중대에서 근무했다는 한 탈북자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대응 포격으로 북한 포병부대가 직접적 피해를 봤을 가능성은 아주 낮다”고 밝혔다. 그는 “바퀴가 달린 107mm 방사포의 경우 포병이 직접 끌어서 이동시켜야 하지만 122mm 방사포는 차량적재형이어서 기동성이 훨씬 높다”면서 “13분 후에 1차 대응포격을 가한 것이 사실이라면 북한 포병부대는 이미 갱도 안으로 다 숨은 뒤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e뉴스팀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올해 경상수지 흑자규모 OECD 7위 (0) | 2010.12.03 |
---|---|
172cm 초등학생 모델 우월 기럭지 ‘폭풍성장 놀랍네’ (0) | 2010.12.02 |
스위스 한국인 비밀금고 열린다 (0) | 2010.12.02 |
北포격에도 11월수출 "이상무"…작년보다 24% 늘어 (0) | 2010.12.01 |
통 커진 가계 씀씀이…20%가 月300만원 이상 소비 (0) | 2010.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