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3. 1. 09:15ㆍ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저소득층 엥겔계수 5년만에 최고치
경향신문 | 김다슬기자 | 입력 2011.02.28 15:34 |
지난해 식품물가가 급등하면서 저소득층의 엥겔계수가 5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의 월평균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물가상승분을 반영하지 않은 명목 가격 기준으로 31만6936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9년 29만 7652원보다 6.5% 증가한 것이다.
물가변동 영향을 제거한 실질가격 기준으로는 지난해 25만8256원으로 전년(25만7067원)보다 0.5% 늘어났다.
지난해 가격이 35.2% 급등한 채소(채소가공품 포함)의 지출은 명목 기준으로 전년보다 22.9% 급증했다. 다만 실질 기준으로는 3.3% 줄었다. 과일(과일가공품 포함) 가격도 12.4% 급등해 명목 지출은 6.9% 늘었으나 실질 지출은 3.7% 감소했다.
신선 수산물은 명목 기준으로 1.9% 증가했으나 실질 기준으로는 7.5% 줄었으며 염건 수산물은 명목 지출이 5.1% 증가한 반면 실질 지출은 4.7% 줄었다.
식품물가 상승은 저소득층의 생활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가계의 소비지출 가운데 식료품ㆍ비주류음료 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인 엥겔계수가 저소득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아졌다.
소득 5분위별로 보면 소득 1분위(하위 20%)의 엥겔계수가 20.47%로 전년(19.98%)보다 높아지면서 2005년(20.70%)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엥겔계수는 소득이 낮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지난해 저소득층이 먹고사는데 쓴 돈이 늘면서 다른 지출 비중은 상대적으로 줄였기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반해 소득 5분위(상위 20%)는 지난해 11.45%로 전년(11.31%)보다 소폭 상승에 그쳤고 소득 4분위는 12.81%로 전년(13.09%)보다 하락했다.
전체적으로는 지난해 실질 기준 엥겔계수가 12.94%로 전년(13.39%)보다 낮아지면서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명목 기준으로는 13.86%로 전년(13.85%)보다 높아졌다.
엥겔계수는 통상 실질 기준이 명목 기준보다 높은 흐름을 보였으나 2009년부터 역전돼 실질(13.39%)이 명목(13.85%)보다 0.46%포인트 낮았다. 이어 지난해는 격차가 0.92%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 김다슬기자 amorfati@kyunghyang.com >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英 로얄필 연주할 '정주영 레퀴엠' 아시나요 (0) | 2011.03.03 |
---|---|
지난달 하루 평균 수출 20억弗 돌파 (0) | 2011.03.02 |
전면전 대비 美항모 출격…WMD 제거부대도 참가 (0) | 2011.02.28 |
"올해 무상급식 규모, 작년보다 배증" (0) | 2011.02.28 |
“北 급변사태 발생시 통일비용 2525조원”… (0) | 2011.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