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산모 10년새 25%P나 줄어 31%뿐

2013. 2. 26. 23:08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늙어가는 산모

20대 산모 10년새 25%P나 줄어 31%뿐

20대 산모 보기가 힘들어졌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12 출생·사망통계’(잠정)에 따르면 20대 산모는 15만 1800명으로 전체 산모의 31.3%에 그쳤다. 10년 전만 해도 20대 산모는 27만 8390명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56.6%)을 차지했다. 이재원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초혼 연령이 계속 올라가고 있는 데다 결혼 후에도 맞벌이 등으로 인해 출산 시기를 조절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1990년 24.8세에서 2011년 29.1세로 4.3세 높아졌다.

상대적으로 35세 이상 고령 산모는 꾸준히 늘고 있다. 5명에 한 명꼴이다. 2002년 3만 9454명(8.0%)에 불과했던 고령 산모는 지난해 9만 300명(18.6%)으로 늘었다. 10년 사이 2.3배 급증했다. 이런 추세를 감안해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고령 임신부에 대한 비자극 검사(산전검사)의 건강보험 혜택을 1회에서 2회로 늘렸다.

셋째 아이의 출생성비(여아 100명당 남아 수)는 2002년 141.1에서 지난해 109.2로 떨어졌다. 뿌리 깊은 남아 선호 사상이 약해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 과장은 “103~107을 정상 성비로 보는 만큼 셋째 아이의 경우 거의 성 선택을 하지 않았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48만 4000명으로 전년보다 1만 3000명(3.8%) 늘었다. 2007년(47만 3200명) 이후 최고치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도 지난해 1.30명으로 3년 연속 오름세다. 초(超)저출산국 탈출이 임박한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사망자 수도 26만 7300명으로 전년보다 9900명(3.8%) 늘었다. 고령화에 따라 70세 이상 사망자가 8.1%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2월 사망자가 유난히 많았다. 기록적인 한파 때문으로 보인다. 2월 다음으로는 1월과 3월 사망자가 많아 1~3월을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 것으로 통계는 말해 준다.

‘객사’에 대한 인식이 바뀐 것도 흥미롭다. 2002년까지만 해도 집(45.4%)에서의 사망이 의료기관(43.4%)보다 많았지만 2003년 역전되기 시작해 지난해는 의료기관(70.1%)이 집(18.8%)을 월등히 앞질렀다. 이 과장은 “과거에는 밖에서 죽으면 객사로 여겨 안 좋게 봤지만 이제는 장례문화도 바뀌어 병원(에서의) 사망이 일반화됐다”고 밝혔다.

세종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