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로에 선 중국경제> ②중국 정부 '금리 카드' 꺼낼까
2014. 8. 27. 19:58ㆍ지구촌 소식
<기로에 선 중국경제> ②중국 정부 '금리 카드' 꺼낼까
부동산 정책 전환 이어 "하반기 금리 인하" 전망도
![]() |
(상하이=연합뉴스) 한승호 특파원 = 회복세를 보이던 중국 경제가 하반기 들어 '주춤'거리자 중국 정부의 정책 방향에 관심이 쏠린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까지 경제 챙기기에 나섰고 리커창(李克强) 총리도 안정 성장을 강조하고 있어 경기 하강을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올해 상반기 반등 조짐이 나타난 것도 정부의 집중적인 '미니 부양책'이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중국 정부는 올해 들어 소기업 소득세 경감 혜택 확대, 소기업과 삼농(三農:농민·농촌·농업) 부문 금융기관 지급준비율(지준율) 인하, 판자촌 개조사업과 철도 등 기반 건설 가속 등 간접 지원책을 잇따라 내놨다.
또한, 부동산 경기 하락이 이어지면서 경기 회복의 발목을 잡자 지방정부를 통해 부동산 억제를 완화하는 정책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실수요 이외 투자나 투기성 주택 구매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거나 아예 풀고 있다. 지난달까지 구매제한 정책을 시행하는 46개 도시 가운데 30곳이 이미 해제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노력으로 일부 지방도시에서는 미세하나마 주택 가격이 반등하는 곳도 나타나고 있다고 중국 언론은 전했다.
하지만, 소비와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 3분기 하강 압력이 커지기 때문에 정부가 금리 인하 등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최근 한국과 호주 등이 금리 인하에 나섰고 초저금리시대에 3%대인 중국 기준 금리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점도 인하 가능성을 점치는 이유로 꼽혔다.
창젠(常健) 바클레이즈 차이나 수석경제분석가는 중국 언론에 "7월 중국의 경제지표가 좋지 않고 부동산 시장이 조정기를 맞고 있는데다 외부 수요도 불확실한 상황"이라며 "중국 정부가 성장 속도의 저하에 대한 용인과 적극적인 부양책 추진을 놓고 저울질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아직도 통화정책 완화해 유동성을 늘려나갈 필요가 있다"면서 "중국이 하반기에 두 차례 금리를 인하해 기업들의 채무 부담을 줄여주고 소비를 확대해 나가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중국 정부가 지난 4월과 6월 부분적인 지준율 인하를 한데 이어 추가적인 조치로 금융기관의 대출 여력을 높여주는 방안이나
수출 여건 개선을 위한 위안화 평가절하에 나서는 방안 등을 검토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왔다.
다만, 중국 정부가 무차별적 부양책을 쓰지 않겠다고 밝힌 데다 이미 내놓은 부양책과 개혁 조치들이 효과를 내게 돼 정부가 금리 인하와 같은 '강수'를 둘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hsh@yna.co.kr
'지구촌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바마, 'IS 격퇴 전략' 윤곽 잡혔다 (0) | 2014.09.09 |
---|---|
中, '제2의 싼샤댐' 5부능선 돌파…댐 2개 완공 (0) | 2014.09.08 |
중국, ‘시속 5800㎞’ 초음속 잠수함 개발중 (0) | 2014.08.24 |
"돈세탁·테러지원 위험국 1위는 이란" (0) | 2014.08.17 |
"죽을 짓 하면 죽는다" … 요즘 중국 최대 유행어 (0) | 2014.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