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9. 25. 21:36ㆍ생활의 지혜
[이슈분석]알뜰폰 가입자 400만 시대, 고민 느는 업체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가입자를 더 확대할지 뚜렷한 전략을 잡기가 쉽지 않다.”
“이젠 가입자를 모으는 것 말고도 이탈 가입자를 막기 위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경쟁사는 늘고 시장 환경은 안 좋아지는데, 가입자 증가율은 오히려 더 떨어지는 것 같다.”
알뜰폰 가입자가 400만명을 넘었다. 지난 2010년 8월 이동통신재판매(MVNO, 알뜰폰)법이 통과되고 그 이듬해 1호 사업자가 등장한 뒤 3년만이다. 400만 가입자는 국내 휴대폰 가입자수 5600만명의 6% 수준이다. 알뜰폰 사업자가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면서 SK텔레콤·KT·LG유플러스 이동통신(MNO) 3사 독과점 구조를 깨고 가계 통신비 절감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우체국, 편의점 등으로 유통경로를 확대하고 정부의 대대적인 홍보 덕분에 인지도도 상승했다. 저렴한 요금제를 원하는 젊은층을 중심으로 알뜰폰으로 이동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알뜰폰 업계의 고민은 한층 더 깊어지고 있다. 여전히 이통 3사가 전체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어 알뜰폰 전체 점유율을 늘리는 과제를 안고 있는데다 지난 3년간 경쟁 상황은 더욱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초기 출범 당시 중소기업 위주로 출범했던 알뜰폰 업체는 CJ헬로비전, 태광그룹계열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이 진출하면서 대기업화하기 시작했고 SK텔링크에 이어 올해 LG유플러스 계열 미디어로그, KT 계열사 KTIS가 신규 진입하면서 춘추전국시대를 열었다. 이통 계열사는 계열사대로, 대기업·중소기업 역시 각기 상황에 따라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
우선 지난 8월 기준 76만7000명 가입자를 확보한 CJ헬로비전은 SK텔링크(63만3000명)와 가입자 수 격차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MNO와 직접 경쟁하겠다고 나서긴 했지만 단말기 수급 능력, 유통망, 결합할인 가능성, 부가서비스 추가 등 사업 전반에서 밀린다. 설비투자비용은 들지 않지만 망 도매대가를 내야하는 한편 요금제는 MNO에 비해 저렴하게 책정해야 한다. 수익을 내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반면에 통신사 계열 알뜰폰 업체들은 통신사와 동일하게 단말기를 공급 받으면서 단말기 확보나 재고 관리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양상이다. 알뜰폰 사업자들은 초기 2년 약정 가입자가 최근 이탈을 시작해 이들을 잡아두기 위한 전략도 필요한 시점이다.
KCT는 CJ헬로비전과는 또 다른 골칫거리를 안고 있다. 정산·과금은 물론이고 부가서비스까지 직접 개발해야 하기 때문에 투자 부담이 상당하다. 비슷한 시기에 진출한 CJ헬로비전에 비해 가입자 규모도 5분의 1수준인 16만명에 불과하다. KCT 관계자는 “직접 시스템을 개발하다보니 후불 시장 진출이 늦었고 MNO와 경쟁할 수 있는 덩치는 못 되는데 개발·투자 비용이 들어 부담”이라고 설명했다.
SK텔링크는 올해 최대한 가입자 수를 끌어 올린다는 전략이다. SK텔링크 관계자는 “알뜰폰 시장 성장은 어느 정도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알뜰폰 점유율이 10% 이상 늘어나면 가입자 증가율이 떨어질텐데, 그 전까지 어떻게든 가입자를 많이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KTIS·미디어로그 진출로 MNO 관계사들과는 노하우나 단말 수급 등에서 유리할 것도 없어졌다. 이들과 MNO 시장처럼 번호이동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을 또다시 되풀이해야 할 수도 있다.
7월 시장에 진출한 KTIS와 미디어로그는 각각 5만3000명, 2만4000명을 모집했다. 업계 관계자는 “KTIS(KT지분율 17.6%)는 지배구조가 미디어로그(LG유플러스 지분 100%)와 달라 KT의 후방 지원을 받는데도 한계가 있다”고 전했다.
중소업체들도 나름의 고민을 안고 있다. MNO 저가 요금제를 사용하는 연령층은 알뜰폰에 대한 인지도가 떨어지는 어린이·청소년, 노인층이다. 이들에 대한 홍보를 할 예산도 부족하다. 그나마 우체국 유통망에 포함된 5개 업체(유니컴즈 43만명, 아이즈비전 30만5000명, 에넥스텔레콤 25만1000명, 스페이스넷 22만8000명, 에버그린모바일 20만3000명)는 가입자가 꾸준히 늘고 있지만 이 외에는 독자적으로 유통망을 넓혀야 한다. 장기 현금 유입이 기대되는 후불 약정 가입자 대신 선불폰 가입자에 의존적이라는 것도 고민이다. 단말기 수급 능력도 열악하다.
한 업계에서 동상이몽을 하고 있지만 어느 업체 하나 고민스럽지 않은 곳이 없다. 지난 7월 망이용대가를 추가 할인하고 이른바 ‘반값 요금제’를 출시하면서 시장 분위기는 좋지만 앞날은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이전까지는 손익분기점(BEP)을 넘기기 위해 고민해왔다면 이제는 가입자를 어떻게 빼앗아오는가를 근본적으로 고민해야 하는 때”라고 토로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제 정부 차원에서 도와줄 수 있는 지원책은 거의 다 나왔다”며 “업계 스스로 자구책을 마련해 가입자 확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오은지기자 onz@etnews.com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 뻗지도 못하면서 (0) | 2014.10.09 |
---|---|
"카레에 뇌 손상 치유 성분"<獨연구팀> (0) | 2014.09.27 |
북극 진동·북극 바다얼음?…이것만 알면 당신도 제갈공명 (0) | 2014.09.03 |
부부 금술이 좋으면 장수한다. (0) | 2014.08.28 |
"커피 하루 2잔만 마셔도 카페인 권고량 초과" (0) | 2014.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