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유소 400여곳 "폐업비용 없어 휴업 중"

2015. 1. 20. 19:30철거종합 NEWS

전국 주유소 400여곳 "폐업비용 없어 휴업 중"

 

 

토양정화비용·철거비 1억4천만원 필요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주유소를 운영하면 한 때 '알부자' 또는 '지역유지'란 말을 듣던 때도 있었지만, 이제는 문을 닫고 싶어도 폐업비용이 없어 휴업 중인 주유소가 전국 400곳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 주유소협회에 따르면 2014년 11월 말 기준 전국 1만2천498개 주유소가 영업중이고, 436곳이 휴업중이며 지난해 1∼11월 226곳이 폐업했다.

2013년 폐업주유소는 310곳, 그해 12월 말 기준 휴업주유소는 393곳이었다. 주유소가 휴업신고를 내면 1년 동안 휴업상태로 있을 수 있고, 때에 따라 기간을 연장할 수도 있다.

연합뉴스

전국 주유소 개수는 2010년 1만3천4개로 정점을 찍고 나서 과포화 상태에 따른 가격 경쟁과 수익률 하락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2011년에는 1만2천901곳, 2011년 1만2천803곳, 2012년 1만2천687곳, 2013년 1만2천522곳으로 줄었다.

과거 주유소를 설치할 때는 거리제한이 있었다. 1990년만 해도 서울 700m 이상, 직할시와 시·읍 1km 이상, 기타지역 2km 이상 거리를 두고 주유소를 허가했기 때문에 전국의 주유소는 3천400여개에 불과했다.

하지만, 정부가 석유사업 자유화 정책을 시행하면서 1991년 11월 거리제한을 절반으로 완화했고, 1993년 서울을 비롯한 6대 도시의 거리제한 폐지, 1995년 전국적으로 거리제한을 철폐했다.

이에 따라 주유소 숫자가 급증하면서 1998년 1만 개를 넘어섰고, 가격경쟁이 불붙으면서 1995년만 해도 10%가 넘던 휘발유 매출이익률은 지난해 6월 기준 5.2%로 반 토막 났다.

매출이익률은 정유사 공급가격 대비 주유소 판매가격이기 때문에 카드수수료 1.5%를 빼면 3.7%로 떨어지고, 임대료와 인건비 등 판매관리비를 제한 영업이익률은 평균 1% 안팎이라는 게 주유소협회의 설명이다.

특히 지난해 11월말부터 국제유가가 폭락하면서 국내에도 저가 경쟁이 심화하면서 영업이익률은 더 하락했다.

단기적으로 '밑지는 장사'를 하면서까지 고객유치에 나서는 업체들이 생겨난 것이다.

주유소 관계자는 "인근 주유소와 ℓ당 10원 차이만 나도 손님을 빼앗기는 게 확연히 보이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로 가격을 따라 내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15일 안동VIP주유소가 휘발유 판매가를 ℓ당 1천299원으로 내리자 현재 안동지역 주유소 총 7곳이 1천200원대로 낮췄다.

이처럼 국내 주유소업계가 자체 구조조정을 겪는 가운데 폐업이 아닌 휴업을 선택하는 주유소는 폐업비용조차 내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주유소의 평균 규모는 991㎡(300평)인데 구조물 철거에 약 7천만원, 주유탱크 주변 토양오염 정화비용 최소 7천만원 등 주유소 문을 닫으려면 1억4천만원 이상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자본력이 없는 주유소는 휴업신고를 하거나 임대형태로 전환해 가짜 석유 불법유통에 악용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

휴업주유소를 지역별로 보면 땅값이 비싼 서울은 6곳에 불과하고, 경기 60곳, 전남 58곳, 경남 57곳 등이다.

주유소 업계는 자유경쟁을 통해 문을 열고, 닫는 것은 당연한 이치지만, 정부가 알뜰주유소 확대와 대형마트 주유소 도입 등 인위적인 가격경쟁을 촉진한 점이 주유소 경영악화를 부채질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noano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