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소득 134만원 안되면 생계급여 받는다
2016. 7. 14. 21:42ㆍC.E.O 경영 자료
월소득 134만원 안되면 생계급여 받는다
- 입력 : 2016.07.13 17:53 | 수정 : 2016.07.13 17:
복지부, 기준소득 결정.. 중위소득 447만원
내년도 기준 중위소득(4인가구)이 447만원으로 결정됐다. 이는 올해 대비 1.73%(7만6000원) 인상된 금액이다. 이에 따라 생계급여는 내년부터 월 최대 6만6698원(4인가구) 오른 134만원으로 결정됐다.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제도 급여별 선정기준 등에 활용되며 국내 모든 가구를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말한다.
보건복지부는 13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제52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열고 2017년도 기준 중위소득을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2015년 중위소득에 2012~2015년 중위소득의 평균 증가율을 반영했다. 또 이날 내년도 급여별 선정기준과 급여 수준도 확정했다. 급여별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대비 비율이 적용된다.
기준 중위소득 대비 생계는 올해보다 1%포인트 인상된 30%, 의료와 주거, 교육은 올해와 같은 각각 40%, 43%, 50% 이하 가구다. 이를 대입해 4인가족을 기준으로 할 경우 급여별 선정기준은 생계 134만원, 의료 179만원, 주거 192만원, 교육 233만원 이하 가구다.
생계급여는 127만원에서 134만원으로 인상돼 보장성이 강화됐고 의료급여는 기존과 동일하게 급여대상 항목에 대한 의료비 중 수급권자 본인부담금액을 제외한 전액을 지원한다.
주거급여 최저보장수준은 올해 임차가구 기준임대료에 최근 3년간 주택임차료 상승률을 반영해 약 3000~9000원 인상했다. 자가가구의 경우 주택 노후도에 따라 구분한 보수범위(경·중·대보수)별 수선비용을 올해와 동일한 수준으로 지급한다.
교육급여 최저보장수준은 최근 3년 평균 교육분야 물가상승률(1.5%)을 감안, 학용품비.교과서대 단가를 상향하고 부교재비의 경우 단가 현실화를 위해 5%를 인상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2017년 기준 중위소득 및 선정기준, 최저보장수준이 인상됨에 따라 조금 더 두터운 보호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제도 급여별 선정기준 등에 활용되며 국내 모든 가구를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말한다.
보건복지부는 13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제52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열고 2017년도 기준 중위소득을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2015년 중위소득에 2012~2015년 중위소득의 평균 증가율을 반영했다. 또 이날 내년도 급여별 선정기준과 급여 수준도 확정했다. 급여별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대비 비율이 적용된다.
기준 중위소득 대비 생계는 올해보다 1%포인트 인상된 30%, 의료와 주거, 교육은 올해와 같은 각각 40%, 43%, 50% 이하 가구다. 이를 대입해 4인가족을 기준으로 할 경우 급여별 선정기준은 생계 134만원, 의료 179만원, 주거 192만원, 교육 233만원 이하 가구다.
생계급여는 127만원에서 134만원으로 인상돼 보장성이 강화됐고 의료급여는 기존과 동일하게 급여대상 항목에 대한 의료비 중 수급권자 본인부담금액을 제외한 전액을 지원한다.
주거급여 최저보장수준은 올해 임차가구 기준임대료에 최근 3년간 주택임차료 상승률을 반영해 약 3000~9000원 인상했다.
교육급여 최저보장수준은 최근 3년 평균 교육분야 물가상승률(1.5%)을 감안, 학용품비.교과서대 단가를 상향하고 부교재비의 경우 단가 현실화를 위해 5%를 인상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2017년 기준 중위소득 및 선정기준, 최저보장수준이 인상됨에 따라 조금 더 두터운 보호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C.E.O 경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년간 회의 한번 안했는데 예산은 꼬박꼬박 타갔다 (0) | 2016.07.14 |
---|---|
'나향욱 망언' 파문, 교육 정책도 되돌아 봐야 (0) | 2016.07.14 |
[신율의출발새아침] 조정래 "내 손주도 중고생, 창의성 마멸시키는 韓 교육 뜯어고쳐야" (0) | 2016.07.14 |
조국, 일반선동에 맛들은 상업용 선동 인간 변모 (0) | 2016.07.14 |
국민 고수 여러분! 교육 개혁에 참여해 주세요. (0) | 2016.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