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0. 7. 19:27ㆍ이슈 뉴스스크랩
지구촌 빚 16경9천조원…IMF "금융위기 또 올수도" 경고
![]() |
전 세계 부채 규모가 지난해 총 152조달러(약 16경9300조원)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부채가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을 모두 합한 것보다 두 배 이상 많은 데다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세계 경제에 경고등이 켜졌다.
국제통화기금(IMF)이 5일(현지시간) 발표한 반기 재정 관측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부채 총계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해 유례없는 '빚잔치' 상태임을 드러냈다. 이번 조사는 113개국의 공공부채와 가계부채, 비금융기업들이 보유한 부채를 대상으로 했다.
연구를 맡은 비토르 가스파르 IMF 재정담당관은 "글로벌 부채 규모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을 뿐 아니라 지금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GDP 대비 부채 규모는 2002년 200%에서 지난해 225%까지 불어났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 같은 역대 최대 규모의 부채가 이례적인 초저금리와 과도한 부채로 인한 위험 사이의 역설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앙은행들은 금리를 바닥으로 끌어내려 대출을 독려하고 성장이 더뎌진 경제를 활성화하려고 하지만, 부채가 급증하면서 경제를 압박하고 있는 딜레마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8년이 지난 지금 전 세계가 유례없는 빚의 숙취에 빠져 고통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IMF는 민간 부문에서 부채가 급증하는 현상을 경계했다. 전체 부채의 3분의 2가 가계와 비금융권 기업에 집중돼 있는 상태다.
가스파르 담당관은 "민간 부문이 보유한 과도한 부채는 글로벌 경제 회복의 가장 큰 역풍"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재정 관측 보고서를 보면 민간 부채의 급격한 상승이 종종 금융위기를 불러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면서 "이렇게 발생한 경기 후퇴는 일반적 경기 후퇴에 비해 기간도 더 길고 정도가 더 심했다"고 우려했다. IMF는 GDP 대비 민간 부채비율이 연간 1%포인트 증가할 때마다 그 나라에서 금융위기가 발생할 확률이 0.4%포인트씩 올라간다고 지적했다. 민간 부채가 심각한 나라로는 중국과 브라질을 꼽았다.
한국도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가계부채가 1257조원을 넘어서 다른 나라보다 가계부채 증가세가 상당히 빠르다. IMF는 앞서 한국 정부에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다시 강화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권고한 바 있다.
공공부채도 안심할 수준은 아니다. 비중으로 보면 민간 부채보다는 적지만 과거 GDP 대비 70%에도 못 미치던 공공부채가 지난해에는 85%로 치솟았기 때문이다. 다만 공공부채는 해당 국가나 지역의 신용등급에 영향을 줄 뿐 금융위기 가능성을 유의미한 수준으로 끌어올리지는 않는다고 IMF는 분석했다.
초저금리로 빚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지만 경제는 그만큼 성장하지 못하는 것도 문제다. IMF는 "저성장이 디레버리징을 방해하는 잔인한 피드백 회로가 만들어지고 있다"면서 "채무 과잉이 성장을 저해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IMF는 나라마다 부채 규모나 비중 등에서 각자 다양성을 띠기 때문에 각 지역에 맞는 맞춤형 정책 진단과 처방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하지만 그동안 선진국들이 중앙은행의 돈 풀기 정책에 의존했던 만큼 이들 나라 정부가 쓸 수 있는 '카드'가 줄어들고 있는 것은 큰 부담이다. 이와 관련해 대대적인 양적완화 약발이 생각처럼 효과를 내지 못하자 유럽중앙은행(ECB)은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에 나설 기미를 보이고 있다. ECB가 내년 3월 채권 매입 프로그램 종료를 앞두고 현재 월 800억유로(약 99조6000억원)씩 매입하는 채권을 앞으로 100억유로 수준으로 확 낮추는 방안에 의견이 모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도 이날 보수당 전당대회 폐막 연설에서 중앙은행의 양적완화 정책이 불평등을 심화시켰다고 비판하면서 이를 정상으로 되돌려놓겠다고 밝혔다.
[강다영 기자]
'이슈 뉴스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북민 3만명 시대> ③정착지원체계 문제는 없나 (0) | 2016.10.09 |
---|---|
심각한 ‘흙수저론’…국민 10중 8명 계층이동 가능성 ‘부정적’ (0) | 2016.10.07 |
"자식 죽여봤자 처벌은 평균 7년형" (0) | 2016.10.07 |
10~30명이 하루 100여명 판정.. 강제입원 구멍 그대로 (0) | 2016.10.07 |
김재수 장관 '황제대출'..금리 80만명 중 6번째로 낮아 (0) | 2016.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