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7. 31. 19:20ㆍ지구촌 소식
일자리 넘치는데 임금 제자리…이유 있는 일본의 사례
"전직 어렵거나 꺼리는 업종에 일손부족 집중돼"
(서울=뉴스1) 배상은 기자 = 고용시장 수요와 공급이 40년만에 가장 빡빡한 상태라면 임금과 물가가 뛴다고 경제이론은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일본의 현실은 완전히 다르다.
31일 블룸버그가 업종별로 구분해서 유효구인배율 통계를 분석해 본 결과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일손 구하기가 힘든 업종은 사람들이 옮겨가기를 꺼리거나 전직이 어려운 곳이었다. 반면, 사무직처럼 인기가 많은 업종에서는 상대적으로 노동공급이 많았다.
유효구인배율이 1보다 크면 구직자 수보다 빈 일자리가 더 많다는 뜻이다. 블룸버그 분석에 따르면, 사무직, 제조업, 기술직, 서비스직, 건설 및 광산업 등 각 업종별 구인배율 격차는 지난 5년간 전혀 좁혀지지 않았다. 이런 업종별 노동 유연성 결핍이 결국 임금에 하락 압력을 가하고 있는 한 원인으로 풀이된다는 것이다.
![]() |
I © AFP=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쓰비시 UFJ 리서치 앤 컨설팅의 루리코 토시다 이코노미스트는 "노동 유연성은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다수의 노동자들은 전통적인 평생직장 고용 구조에 속해 있다"고 말했다.
![]() |
© News1 방은영 디자이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임금이 올라가지 않는 또다른 핵심 이유는 인력 수급이 어려운 업종일수록 고용 규모가 다른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다는데 있다.
일례로 건설 및 광산 업종에서는 구직자 한 사람 당 3.7개에 달하는 일자리가 있지만,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이 분야 일자리의 비중은 5%가 채 되지 않았다.
반면 일본에서 가장 많은 노동자들이 종사하고 있는 사무직은 빈 일자리보다 구직자가 더 많았다. 전체 취업자 6580만명 가운데 사무직은 1280만명에 달한다.
일본 정부는 20년 이상 장기 침체에 빠진 경기 부양을 위해 대규모 양적완화(QE)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임금 나 인플레이션은 좀처럼 오르지 않고 있다. 일본은행(BOJ)은 최근 물가 목표치 2% 달성 시점을 또 한번 연기했다. 인플레 목표 달성 시점이 연기된 것은 2013년 QE 개시 이후 이번이 여섯 번째다.
baebae@
'지구촌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 풍선 효과… 중동서 밀어내니 아시아서 불쑥불쑥 (0) | 2017.08.12 |
---|---|
“미국인 62%, 北공격 시 미군의 한국 방어 지지” (0) | 2017.08.08 |
中 건군절 열병식서 미국 맞선 군사대국화 신호탄 (0) | 2017.07.30 |
美공화, 천신만고 끝에 '오바마케어 폐지' 수순 돌입 성공 (0) | 2017.07.26 |
올해 유럽 '역대 두번째' 뜨거웠다…伊로마 "물도 모자라" (0) | 2017.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