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병력의 60% 이상 차지하는 1·3군사령부 통합
지작사 창설로 '표범같이 날쌘 군' 변모
예하 군단과 사단도 통·폐합, 병력감축에 대응
지작사 직할 드론 부대·군단 예하 KTSSM 부대 신설
개인 장병들 '워리어플랫폼'으로 전투력·생존성↑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국방개혁안에 따라 육군의 제1야전군사령부와 제3야전군사령부를 통합한 지상작전사령부(이하 지작사)가 10월 1일 정식 출범한다. 육군의 1·3군사령부 통합은 육군 전체 병력의 60% 이상에 해당하는 대규모 변화다. 지휘 라인을 축소시켜 ‘표범 같이 날쌘 군’으로 환골탈태하기 위한 시작이다. 육군은 1·3군사령부 통합 이후 예하 군단과 사단도 통·폐합하고 이에 따른 전력 공백은 ‘드론’과 ‘전술지대지유도무기’, ‘워리워플랫폼’ 등 첨단 장비로 보강한다는 구상이다. 지작사 창설로 '표범같이 날쌘 군' 변모
예하 군단과 사단도 통·폐합, 병력감축에 대응
지작사 직할 드론 부대·군단 예하 KTSSM 부대 신설
개인 장병들 '워리어플랫폼'으로 전투력·생존성↑
19일 육군에 따르면 육군 전방부대 지휘조직인 지작사는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3군사령부를 모태로 출범한다. 관련 건물은 이미 완공된 상태다. 1·3군사령부 통합 이후 지작사 수장인 지작사령관(대장)은 현 3군사령관이 맡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작사령관은 한미연합부사령관으로부터 연합지상구성군사령관 임무를 이관받아 유사시 한·미 연합군의 지상작전을 지휘하는 전시작전권 수행의 핵심 역할을 할 예정이다.
|
이렇게 되면 육군 6개 군단의 작전책임지역은 현재 ‘30km(가로)×70km(세로)’에서 ‘60km×120km’로 3∼4배 확대된다. 이에 따른 전력공백은 군단급 무인기(UAV)와 신형전술차량 등 기존 전력화 계획에 더해 ‘5대 게임체인저’를 통해 보강한다는 복안이다. 육군의 5대 게임체인저는 △전천후·초정밀·고위력의 미사일 전력 △전략기동군단 △특수임무여단 △드론봇 전투단 △워리어 플랫폼 등이다.
미사일 전력 중 ‘현무’ 계열 탄도미사일 운용은 합동참모본부 주도의 미사일사령부에서 담당하는 만큼, 육군 자체적인 미사일 능력 보강을 위해 전술지대지 유도무기(KTSSM)를 전방부대에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군단 예하의 포병여단에 전력화 할 가능성이 높다. KTSSM은 북한 장사정포에 대응한 전력이다. 사거리 150여km 수준으로 갱도를 뚫고 들어가 내부를 파괴하는 고위력의 정밀유도무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