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대구 칠성시장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을 수행하던 경호원이 품속에서 기관단총을 꺼내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를 두고 청와대는 "지극히 당연한 직무수행"이라고 해명했지만, 전문가들은 "경호의 원칙을 어긴 것"이란 지적이 나왔다.
논란은 하태경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이 24일 페이스북에 올린 3장의 사진에서 출발했다. 사진에는 칠성시장을 방문한 문 대통령 근처에 남색 패딩을 입은 경호원이 품속에서 성인 팔 길이 정도의 기관단총을 꺼내드는 모습이 찍혔다. 하 최고위원은 "만약 (합성이 아닌)사실이라면 섬뜩하고 충격적”이라며 "대통령 근접 경호 시 무장테러 상황이 아니면 기관단총은 가방에서 꺼내지 않는다고 한다. 경호수칙 위반"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사진 속 인물은 청와대 경호처 직원이 맞다"며 "경호원이 무기를 지닌 채 경호 활동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직무수행”이라고 경호처의 입장을 전했다. 김 대변인은 “사전에 아무런 검색도 할 수 없고 무슨 상황이 발생할지도 모르는 시장방문에서는 고도의 경계와 대응태세가 요구된다”며 “이런 대응은 문재인 정부 뿐만 아니라 이전 정부에서도 똑같이 해온 교과서적 대응”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구체적인 테러 첩보가 입수되지 않았는데도 경호원이 기관단총을 노출하는 것은 이례적이며, 적절치도 않다고 지적했다.
먼저 전문가들은 시장을 방문한 대통령을 수행한 경호원이 기관단총을 소지한 것은 “일반적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 경호처 간부 출신 인사는 “사진 상으로 드러난 총은 ‘MP7'이라는 독일제 기관단총으로 추정된다”며 “시민들이 북적이는 시장은 언제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모르는, ‘야전(野戰) 가능성이 있는 장소’다. 문제 발생 시 개인화기로 방어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기관단총을 소지한 것은 교범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전직 군 관계자도 “기관총을 소지해야 하는 경우인 것은 맞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기관단총을 시민들 앞에서 노출한 것은 경호수칙을 어긴 것이라고 했다. 박근혜 정부 당시까지 대통령 근접 경호를 담당했던 한 인사는 “경호의 대원칙은 은닉”이라며 “아주 다급한 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전용 케이스에 담아두고 손을 케이스에 넣고 대기하는 게 상식”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1981년 3월 30일, 당시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총격 피습을 당한 장면에 이 같은 경호 수칙이 잘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당시 현장을 촬영한 영상에서 서류가방처럼 보이는 가방을 들고 대통령을 수행하던 경호원들은 총격이 발생하자 잽싸게 기관단총을 꺼내든다. “테러 위험에 대한 아주 구체적인 첩보가 있을 경우에는 기관단총을 노출할 수 있는데, 그 때도 충분히 크게 소리를 질러서 시민들을 엎드리게 한 뒤에야 꺼내는 것이 맞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김대중 정부까지 20년 넘게 전직 대통령들을 근접 경호해 온 한 전문가는 “1983년 발생했던 아웅산 테러 현장을 제외하고는 한 번도 대통령을 경호하면서 ‘알총을 깐(기관단총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것을 뜻하는 은어)’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늘 실탄장전 된 권총을 갖고 다니는 경호원들이 무차별 난사를 전제로 한 기관단총을 꺼낼 정도로 위험한 상황이라면 시장을 안 가는 게 맞다. 테러 위험이 심한 이슬람국가를 제외하곤 해외에서도 잘 없는 경우”고 말했다.
야당은 “기관단총이 아니고선 마음 놓고 대구를 방문하지 못하겠다는 대통령의 공포심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고 비판했다. 자유한국당 민경욱 대변인은 “서해수호의 날 추모식 행사에 빠지면서까지 기획 방문한 대구 일정에서 기관단총 무장 경호원을 대동했다는 사실 자체가 충격”이라며 “칠성시장이 무장테러 베이스캠프라도 된다는 말인가. 지시한 최종 윗선은 누구인지 소상히 밝혀라”고 말했다.
강태화·성지원 기자 sung.jiwon@joongang.co.kr
지난 22일 대구 칠성시장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을 경호하는 한 경호원이 품속에서 기관단총을 꺼내드는 모습이 포착돼 논란이 일었다. 해당 사진 속 남색 패딩을 입은 남성이 문 대통령의 경호원으로 확인됐다. [사진=하태경 바른미래당 의원 페이스북]
그러자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사진 속 인물은 청와대 경호처 직원이 맞다"며 "경호원이 무기를 지닌 채 경호 활동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직무수행”이라고 경호처의 입장을 전했다. 김 대변인은 “사전에 아무런 검색도 할 수 없고 무슨 상황이 발생할지도 모르는 시장방문에서는 고도의 경계와 대응태세가 요구된다”며 “이런 대응은 문재인 정부 뿐만 아니라 이전 정부에서도 똑같이 해온 교과서적 대응”이라고 말했다.
지난 2016년 6월 29일, 인청공항터미널에서 시간선택제 일자리 우수기업을 방문한 박근혜 당시 대통령을 근접 경호하는 경호팀의 모습. 24일 대통령 경호원의 '기관단총 노출 논란'이 일자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전 정부 때도 해온 일반적 경호수칙"이라고 해명했다. [사진=청와대 춘추관 제공]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구체적인 테러 첩보가 입수되지 않았는데도 경호원이 기관단총을 노출하는 것은 이례적이며, 적절치도 않다고 지적했다.
먼저 전문가들은 시장을 방문한 대통령을 수행한 경호원이 기관단총을 소지한 것은 “일반적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 경호처 간부 출신 인사는 “사진 상으로 드러난 총은 ‘MP7'이라는 독일제 기관단총으로 추정된다”며 “시민들이 북적이는 시장은 언제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모르는, ‘야전(野戰) 가능성이 있는 장소’다. 문제 발생 시 개인화기로 방어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기관단총을 소지한 것은 교범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전직 군 관계자도 “기관총을 소지해야 하는 경우인 것은 맞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기관단총을 시민들 앞에서 노출한 것은 경호수칙을 어긴 것이라고 했다. 박근혜 정부 당시까지 대통령 근접 경호를 담당했던 한 인사는 “경호의 대원칙은 은닉”이라며 “아주 다급한 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전용 케이스에 담아두고 손을 케이스에 넣고 대기하는 게 상식”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1981년 3월 30일, 당시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총격 피습을 당한 장면에 이 같은 경호 수칙이 잘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당시 현장을 촬영한 영상에서 서류가방처럼 보이는 가방을 들고 대통령을 수행하던 경호원들은 총격이 발생하자 잽싸게 기관단총을 꺼내든다. “테러 위험에 대한 아주 구체적인 첩보가 있을 경우에는 기관단총을 노출할 수 있는데, 그 때도 충분히 크게 소리를 질러서 시민들을 엎드리게 한 뒤에야 꺼내는 것이 맞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981년 3월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총격 피습을 당했던 당시 현장 사진. 전문가들은 "당시 대통령 경호원들이 늘 들고 다니던 서류가방에서 잽싸게 기관단총을 꺼내들었다"고 말했다. 우측 도로에 기관단총을 휴대하는 서류가방이 떨어져 있다.
김대중 정부까지 20년 넘게 전직 대통령들을 근접 경호해 온 한 전문가는 “1983년 발생했던 아웅산 테러 현장을 제외하고는 한 번도 대통령을 경호하면서 ‘알총을 깐(기관단총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것을 뜻하는 은어)’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늘 실탄장전 된 권총을 갖고 다니는 경호원들이 무차별 난사를 전제로 한 기관단총을 꺼낼 정도로 위험한 상황이라면 시장을 안 가는 게 맞다. 테러 위험이 심한 이슬람국가를 제외하곤 해외에서도 잘 없는 경우”고 말했다.
야당은 “기관단총이 아니고선 마음 놓고 대구를 방문하지 못하겠다는 대통령의 공포심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고 비판했다. 자유한국당 민경욱 대변인은 “서해수호의 날 추모식 행사에 빠지면서까지 기획 방문한 대구 일정에서 기관단총 무장 경호원을 대동했다는 사실 자체가 충격”이라며 “칠성시장이 무장테러 베이스캠프라도 된다는 말인가. 지시한 최종 윗선은 누구인지 소상히 밝혀라”고 말했다.
강태화·성지원 기자 sung.jiwo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