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 합장 논란 사과…"절에 잘 안 다녀 몰랐다. 배우고 익힐 것"

2019. 5. 28. 19:49이슈 뉴스스크랩

자유한국당 유튜브 채널 '오른소리'에서 캡쳐
“제가 미숙하고 잘 몰라서 다른 종교에 대해 이해가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면 불교계에 사과드린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28일 당 공식 유튜브 채널인 ‘오른소리’에서 그간 제기된 종교 편향성 논란에 대해 고개를 숙였다. 
황 대표는 이날 방송된 ‘오른소리’의 한 프로그램인 ‘정미경 최고의 마이크’에 출연해 “불교 등 다른 종교를 존중하는 마음을 갖고 있고, 이에 따른 행동도 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황 대표는 부처님오신날인 12일 경북 영천 은해사 봉축 법요식에서 합장하지 않고 손을 모은 채 머리를 반듯이 든 모습이 포착돼 많은 비판을 받았다. 독실한 개신교 신자인 황 대표가 고의로 불교식 예법을 따르지 않았다는 것이다. 불교계와 여권에서는 “부처님오신날 절에 축하하러 갔는데 합장을 하지 않은 것은 최소한의 예의를 지키지 않은 행동”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부처님오신날인 12일 오후 경북 영천시 은해사를 찾아 봉축 법요식에 참석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런 비판에 대해 황 대표는 “저는 크리스천으로 계속 생활해 왔고 절에는 잘 가지 않았다”며 “이 때문에 절에 갔을 때 행해야 할 절차나 의식에서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었을 것이다. 앞으로 잘 배우고 익히겠다”고 말했다. 

민경욱 자유한국당 대변인도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황교안 대표, 합장도 하고 큰절도 드렸습니다”라는 글과 함께 황 대표의 합장 사진을 게시했다. 사진 속에서 황 대표는 스님을 마주 보며 허리를 45도쯤 숙이고 합장을 하고 있다. 이는 합장을 하지 않아 논란이 됐던 12일 황 대표가 은해사에서 찍힌 사진이다. 이와 함께 민 대변인은 황 대표가 한 절에서 스님과 방 안에서 맞절하는 사진도 포스팅했다. 
황 대표 측은 “황 대표가 다른 종교에 대한 관용이 없으며 편협한 종교관을 갖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며 “불필요한 갈등이 퍼지지 않길 바라며 게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 페이스북 캡쳐
“(김 여사의 행동이) 서운했느냐’는 질문에 황 대표는 “저는 속마음을 잘 안 드러내는 사람이라서 지금도 그렇게 하겠다. 보신 분들이 평가하실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정 최고위원이 그런 일을 겪었다면 어땠을 것 같은가”라고 되물으면서 불편한 감정을 에둘러 표현하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제39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문 대통령 왼쪽 맨 뒤로 참석자들과 인사하고 있는 김정숙 여사가 보인다. [연합뉴스]
황 대표는 또 "가장 짜증 날 때가 언제인가"라는 질문에는 군 복무 면제 의혹을 들었다. 그는 “잘못된 팩트에 대해 해명을 하고 고쳐주면 모두 수긍하다가 6개월, 1년 뒤 똑같은 질문을 한다”며 “저는 군 복무를 면탈한 것이 아니라 군대에 가고자 했으나 못 간 것이다. 저도 상처를 받지만 아파서 군대를 못 간 사람들에게도 상처가 될 수 있는 말”이라고 강조했다. 황 대표는 1980년 만성 담마진으로 병역 면제 처분을 받았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