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청원서> 제목: 공직선거법 허위사실유포죄 및 선거보전금 반환 규정 개정 촉구

2025. 3. 27. 01:52C.E.O 경영 자료

 
 

 

<국회 청원서>

제목: 공직선거법 허위사실유포죄 및 선거보전금 반환 규정 개정 촉구

청원인: 정외철

청원 내용:

존경하는 국회의원님들께,

저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제250조)와 선거보전금 반환 규정이 표현의 자유, 공정한 선거, 그리고 민주주의의 근본적 가치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 청원을 제출합니다.

문제점:

헌법적 원칙과의 충돌:

특정 문구로 곧바로 유추될 정도는 돼야 한다는 게 대법원 판결 이라며, 명확한 증거 없이 확대 해석하는 것은 헌법상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고 지적이 있습니다.

이는 허위사실공표죄가 표현의 자유를 제한할 가능성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표현의 자유는 헌법 제21조에 의해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으로, 이를 침해하지 않기 위해서는 명확성 원칙에 따라 엄격히 적용되어야 합니다.

표현의 자유와 확대 해석의 문제:

선거중 발언들에서, 허위사실유포 기소는, 다른 합리적 해석 가능성을 배제하고 공소사실에만 부합하게 해석하는 것은,

정치적 표현의 자유와 선거운동의 자유의 헌법적 의의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는 결과가 됩니다.

이는 허위사실공표죄가 정치적 발언을 지나치게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합니다.

공직선거법 허위사실유포죄의 확대 해석은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키고, 국민의 발언권을 부당하게 제한할 위험이 있습니다.

외국 사례 비교:

미국:

허위사실 공표 문제는 주로 민사적 손해배상으로 해결되며, 형사적 처벌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대표적으로 New York Times v. Sullivan 사건에서, 미국 대법원은 공직자에 대한 비판적 표현이 '명백히 악의적(intentional malice)'이지 않은 한 보호받아야 한다는 판결을 내린 바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표현의 자유를 폭넓게 보장하면서도 공정한 선거를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영국:

허위사실 유포에 대해 민사적 접근 방식이 일반적이며, 형사 처벌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이는 표현의 자유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선거법 체계가 설계되어 있습니다.

허위사실유포죄의 적용 범위:

허위사실공표죄는 적용 범위가 지나치게 넓어, 정치적 표현을 위축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한국어의 특성상 표현의 뉘앙스와 맥락이 다양하므로, 명확한 증거 없이 특정 발언을 허위로 규정하는 것은 국민의 발언권을 침해할 수 있습니다.

선거보전금 반환 규정의 문제점:

선거비용 반환 규정은 징벌적 성격을 띠며, 이는 헌법상 이중 처벌 금지 원칙(헌법 제13조)에 위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벌금형 기준이 정치적 다양성과 정당의 재정적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한국 정치의 특수성과 법 개정의 필요성:

대한민국의 양당 체제는 지속적인 적대적 공생 관계를 유지하며, 이는 정치적 다양성을 제한하고 국가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는 구조적 문제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허위사실공표죄와 선거보전금 반환 규정은 이러한 양당 체제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정치적 대립을 심화시키는 도구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법적 규제는 단순히 특정 사건이나 사례를 넘어, 한국 정치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개정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법적 체계가 국가의 흥망과 민주주의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개선 방향:

허위사실유포죄의 개정:

허위사실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이를 근본적이고 중대한 사안(출생, 학력, 직업, 신분, 경력, 전과 등)에 한정하여 적용해야 합니다.

명확한 증거가 없는 경우 재판에 부치지 않도록 법적 체계를 개선해야 합니다.

선거비용 반환 규정의 개선:

반환 규정을 삭제하거나, 헌법적 원칙에 부합하도록 처벌 기준을 재정비해야 합니다.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며, 징벌적 성격을 제거해야 합니다.

국회의 역할:

국회는 헌법적 원칙을 준수하고 표현의 자유를 보장할 수 있도록 법적 체계를 정비하는 데 앞장서야 합니다.

외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공정성과 자유를 조화롭게 유지하는 법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국민적 영향 및 마무리 요청:

이 개정은 국민의 발언권을 보호하고, 정치적 다양성을 증진시켜 민주주의를 강화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정치적 대립을 줄이는 중요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국민의 기본권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과제입니다.

국회의원님들의 신속하고 책임 있는 논의를 간곡히 요청드립니다.

#공직선거법 #허위사실유포죄 #국회 #입법 #법률개정 #국회청원 #자유발언권 #악의적기소방지 #법악용방지 #구조적문제 #미래 #희망 #책무 #방관 #국회의원 #국회의원선서 #국회의장

2025. 3.27

국민 수행자 정외철

청원 하러 가기

국회전자청원 > 국민동의 청원 > 공직선거법 허위사실유포죄 및 선거보전금 반환 규정 개정 촉구에 관한 청원

https//petitions.assembly.go.kr/proceed/registered/30E79825997F4A54E064B49691C1987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