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8)
-
[이슈분석]위기의 대학, 구조조정은 시작됐다
[이슈분석]위기의 대학, 구조조정은 시작됐다발행일 : 2018.04.10 학생이 없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지식전달은 더 이상 교수의 전유물이 아니다. 자연히 대학 수요도 줄어든다. 더불어 등록금 수입도 준다. 역량진단 평가에 따라 대학별 정부 지원 격차는 더욱 커진다. 감원에 대한 정부 정책..
2018.04.10 -
기업 56% “외부협업·융합뒤 매출 증가”… 48%는 “영업이익률 개선”
기업 56% “외부협업·융합뒤 매출 증가”… 48%는 “영업이익률 개선” 48% "활용후 영업이익률 개선" 남도영 기자 namdo0@dt.co.kr | 입력: 2017-01-16 17:14 [2017년 01월 17일자 1면 기사] 산업기술진흥협회 '산업계 외부협업·융합활동 현황' 공동조사 기술 변화 속도가 빨라지고 고객의 요구가 다양..
2017.01.17 -
"20년후 대학 20~30% 문닫는다"
"20년후 대학 20~30% 문닫는다" 아시아경제 | 조민서 | 입력 2012.04.13 15:25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앞으로 20년 후에는 입학정원 감소로 대학의 20~30%가 문을 닫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4년제 대학보다는 전문대학, 수도권 보다는 지방 소재 대학의 인원 감축이 심각해질 것이란..
2012.04.14 -
공고·상고 졸업반 취업희망자 28%→41%로
공고·상고 졸업반 취업희망자 28%→41%로 특성화고 학생들의 현실론 "대학 가봤자 별 소용없다" 취업 우선으로 인식 바뀌어 조선일보 | 안석배 기자 | 입력 2011.10.13 03:36 | 수정 2011.10.13 06:04 서울지역 특성화고(옛 공고·상고) 3학년 학생 10명 중 4명(41.6%)꼴로 졸업 후 대학 진학 대신 직장에 취업하겠다..
2011.10.13 -
앞으로 10년간 사라질 대학들
[클릭 현장에서] 앞으로 10년간 사라질 대학들 2004년 초등학교 6학년생은 70만9000명에 달했다. 중ㆍ고교 6년 사이 외국으로 유학을 가거나 대안학교에 진학하거나 피치 못할 사정으로 학업을 중단해 올해 고3까지 오른 학생들은 약 68만3000명. 중도 탈락률은 3.7%가량이다. 68만3000여 명 가운데 올해 11월 수..
2010.09.08 -
대학 안 나와도 고소득 가능한 10가지 직업
대학 안 나와도 고소득 가능한 10가지 직업2010.02.01 08:59 | 일반폴더 | 리더스21 http://kr.blog.yahoo.com/mleaders21/1770 원본 : 나라와 도시, 인물과 문화 이야기 보람을 느끼며 일하고 충분한 보수를 받기 위해서는 꼭 대학을 나와야 하는 걸까? '학력 인플레'로 표현되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사실 꼭 필요하지 ..
2010.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