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성공 이유
2008. 2. 14. 05:22ㆍ부동산 정보 자료실
많은 분들이 부동산은 불패란 믿음을 갖고 있습니다. 물론 많은 분들이 이에대해 반론을 제시할수 있고 나름대로 타당성이 있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부동산은 장기적으로 불패란 말은 근거가 있는 것입니다.
장기적으로 부동산 투자가 항상 성공하는 이유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그 세가지는 물가 상승률과 경제성장률, 그리고 인구증가률로, 부동산은 이 세가지를 부동산에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1. 물가 상승률
10년전에 비해 물가는 오르고 20년 전에 비해 물가는 항상 오릅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모든 상품은 가격이 오릅니다. 물론 일시적으로 내리는 품목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모든 상품의 가격은 오릅니다. 따라서 모든 부동산의 기초 재료인 땅값도 오릅니다. 그것이 서울이든 수도권이든 지방이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땅값이 오릅니다. 땅값이 오르면 그 위에 세워지는 주택과 상가, 빌딩 그리고 공장등의 값이 오릅니다.
모든 정부의 목표는 완만한 정도의 인플레입니다. 지나친 인플레는 위험하고 디플레이션은 더욱 위험합니다. 따라서 모든 정부는 완만한 수준의 인플레가 목표일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정부가 인플레를 용인하는 한 모든 상품의 가격은 오릅니다.
최근들어 부자들이 부동산에 더욱 애착을 가지는 이유는 고액권의 발행과 리디노미네이션의 가능성때문입니다. 이 두가지는 모두 인플레가 진행되 돈의 가치는 떨어지고 자산의 가치가 오른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2. 경제성장률
경제가 성장하면 많은 기업이 성장하고 많은 돈들이 생깁니다. 따라서 경제가 성장하는한 돈이 많아지고 그 돈으로 주택도 사고 상가도 사고 기업을 일으키고 다시 경제를 성장시킵니다. 따라서 경제가 성장하는 한 부동산 가격은 오릅니다. 물론 지역에 따라 차별화, 양극화가 생길수는 있지만 결국은 다 오릅니다.
경제성장률이 낮은 데도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오른다면 버블을 걱정해야하고 경제성장률이 높은데도 부동산 가격이 오르지 않는다면 저평가입니다. 하지만 분명한것은 경제가 성장하는한 부동산 가격은 오른다는 것입니다.
최근들어 버블 걱정을 하는것은 단기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경제성장률보다 더 오르지 않았나 하는것 때문입니다. 또한 저성장을 하는데 부동산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른다면 문제가 있는것입니다.
3. 인구증가율
인구가 늘면 당연히 부동산 가격이 상승합니다. 인구가 느는데도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인구가 증가하는 곳의 부동산을 많은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들어 한국은 인구증가률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고령화가 너무 치나칠 정도로 급속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많은 하락론자들이 2015년 이후에 비관적인 의견을 내놓는것입니다. 현재도 지방이나 대도시의 외곽을 가 보면 고령화의 속도를 실감할수 있습니다.
물론 2015년 아니면 2020년 까지는 그럭저럭 버틸지 모릅니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인구증가률이 감소하고 고령화가 급격히 증가한다면 주택의 경우는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심각한 타격을 받을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많은 전문가들이 수도권을 추천할수 밖에 없습니다.
장기적으로 부동산 투자가 항상 성공하는 이유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그 세가지는 물가 상승률과 경제성장률, 그리고 인구증가률로, 부동산은 이 세가지를 부동산에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1. 물가 상승률
10년전에 비해 물가는 오르고 20년 전에 비해 물가는 항상 오릅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모든 상품은 가격이 오릅니다. 물론 일시적으로 내리는 품목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모든 상품의 가격은 오릅니다. 따라서 모든 부동산의 기초 재료인 땅값도 오릅니다. 그것이 서울이든 수도권이든 지방이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땅값이 오릅니다. 땅값이 오르면 그 위에 세워지는 주택과 상가, 빌딩 그리고 공장등의 값이 오릅니다.
모든 정부의 목표는 완만한 정도의 인플레입니다. 지나친 인플레는 위험하고 디플레이션은 더욱 위험합니다. 따라서 모든 정부는 완만한 수준의 인플레가 목표일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정부가 인플레를 용인하는 한 모든 상품의 가격은 오릅니다.
최근들어 부자들이 부동산에 더욱 애착을 가지는 이유는 고액권의 발행과 리디노미네이션의 가능성때문입니다. 이 두가지는 모두 인플레가 진행되 돈의 가치는 떨어지고 자산의 가치가 오른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2. 경제성장률
경제가 성장하면 많은 기업이 성장하고 많은 돈들이 생깁니다. 따라서 경제가 성장하는한 돈이 많아지고 그 돈으로 주택도 사고 상가도 사고 기업을 일으키고 다시 경제를 성장시킵니다. 따라서 경제가 성장하는 한 부동산 가격은 오릅니다. 물론 지역에 따라 차별화, 양극화가 생길수는 있지만 결국은 다 오릅니다.
경제성장률이 낮은 데도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오른다면 버블을 걱정해야하고 경제성장률이 높은데도 부동산 가격이 오르지 않는다면 저평가입니다. 하지만 분명한것은 경제가 성장하는한 부동산 가격은 오른다는 것입니다.
최근들어 버블 걱정을 하는것은 단기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경제성장률보다 더 오르지 않았나 하는것 때문입니다. 또한 저성장을 하는데 부동산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른다면 문제가 있는것입니다.
3. 인구증가율
인구가 늘면 당연히 부동산 가격이 상승합니다. 인구가 느는데도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인구가 증가하는 곳의 부동산을 많은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들어 한국은 인구증가률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고령화가 너무 치나칠 정도로 급속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많은 하락론자들이 2015년 이후에 비관적인 의견을 내놓는것입니다. 현재도 지방이나 대도시의 외곽을 가 보면 고령화의 속도를 실감할수 있습니다.
물론 2015년 아니면 2020년 까지는 그럭저럭 버틸지 모릅니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인구증가률이 감소하고 고령화가 급격히 증가한다면 주택의 경우는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심각한 타격을 받을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많은 전문가들이 수도권을 추천할수 밖에 없습니다.
앞으로 한국은 디플레의 가능성보다는 인플레의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또한 경제가 침체하기 보다는 최소한 4-5%의 경제성장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한국은 우려스럽기는 하지만 최소 2015년까지는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것입니다.
결국 부동산은 물가 상승률과 경제성장률 그리고 인구증가률을 가격에 반영합니다. 따라서 한국 경제가 인플레가 지속되고 경제가 성장하고 인구가 느는한 부동산은 항상 성공합니다 . 단지 단기적인 기간이 아닌 장기적인 기간을 놓고 보았을때 그러합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대박을 노리지 않는한 부동산은 여러분을 실망시키지 않을것입니다.
'부동산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집마련 시기 (0) | 2008.02.17 |
---|---|
취,등록세 폐지추진 (0) | 2008.02.14 |
분양권(딱지)폐지 (0) | 2008.02.11 |
실전 아파트 재테크 (0) | 2008.02.08 |
아파트 선택 방법 (0) | 2008.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