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6. 2. 00:39ㆍ부동산 정보 자료실
수도권 50~60개 단지 추진
"추진위 설립·해체 자유로워
집값 올린뒤 지지부진 많아"
올해 들어 수도권 지역에서 고쳐짓기(리모델링)를 추진하는 아파트 단지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리모델링이 가능한 아파트 건축 연한이 20년에서 15년으로 완화된데다 재건축 사업은 규제로 기대수익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건설업계도 이때를 놓칠세라 재건축·재개발 수주 시장을 대신해 리모델링 수주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일부 단지의 경우 리모델링에 들어갈 여건이 미비한데도 일단 시공사부터 뽑고 집값 상승을 노리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실수요자들의 주의가 요망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업계에서는 올 들어 50~60여 단지가 시공사를 선정했거나 할 예정인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형 건설사들도 리모델링 수주에 뛰어들고 있다.
대림산업은 지난 달 말 평촌 목련2단지 대우선경아파트(994가구)의 리모델링 시공권을 따낸 데 이어 이달 24일에는 강남구 개포 우성9차(232가구)의 시공사로 선정됐다. 쌍용건설은 올해에만 강서구 염창동 우성3차(196가구), 영등포구 대림동 신동아아파트(591가구), 강동구 명일동 삼익가든(768가구) 리모델링 우선협상 대상자 및 시공사로 선정됐다. 또 3870가구에 이르는 경기 수원시 정자동 동신1~3차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의 건설사업 관리도 맡는다.
대우건설은 올해 송파구 송파동 성지아파트(298가구)와 안양 동안구 호계동 목련3단지 우성아파트(902가구)의 시공사로 선정됐다. 현대산업개발은 지난달 강남구 개포 대치2단지(1753가구), 현대건설은 은평구 신사동 현대1차(445가구) 리모델링 사업을 따냈다.
이들 단지 외에도 올해 강남구 개포동 개포럭키, 송파구 오금대림과 삼익맨션, 서초구 방배우성 등의 시공사 선정이 임박한 상태다. 하지만 실제 리모델링보다는 시공사 선정을 집값 상승 재료로 이용하려는 단지가 적지 않은 것은 문제로 지적된다. 리모델링 추진위원회는 재건축 추진위원회와 달리 법적 구속력이 없고 설립·해체가 자유롭다 보니 이런 현상을 부채질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성동구의 한 아파트는 두 개의 추진위가 각각 대우건설과 쌍용건설을 시공사로 뽑았다며 대립하는 등 분쟁을 겪고 있다. 김규정 부동산114 차장은 "일단 리모델링 추진 단지로 홍보한 뒤 집값만 올리고 후속사업이 지지부진한 곳도 적지 않다"며 "리모델링 움직임이 있는 주택을 거래할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동산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전매제한 폐지 (0) | 2008.06.02 |
---|---|
타운하우스 투자 (0) | 2008.06.02 |
아파트 바겐세일 (0) | 2008.06.01 |
약 이 되는 부동산거래 (0) | 2008.05.31 |
금년 개별공시지가 (0) | 2008.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