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00층의 꿈..
2009. 2. 10. 08:49ㆍ건축 정보 자료실
서울 100층의 꿈..길몽? 악몽! | ||
`삼성-종합운동장-잠실`라인 600m급 3곳 추진 | ||
[이데일리 윤도진기자] 서울에 100층짜리 빌딩 계획이 또 나왔다. 강남구는 삼성동 한국전력, 서울의료원, 한국감정원 이전 예정 부지를 복합단지로 개발하는 내용을 담은 `그린 게이트웨이(Green Gateway)` 제안서를 지난 5일 서울시에 제출했다. 114층 랜드마크 타워를 포함한 초대형 복합단지를 건립하는 것이 골자다. 제안서는 포스코건설과 삼성물산이 작성, 강남구에 낸 것이다. ◇ 100층 건물 서울에만 7개(?) 서울 시내에서 100층 이상, 높이 500m를 넘는 초고층 빌딩 건립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는 곳은 7개로 파악된다. 용산에서는 용산역세권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되는 복합단지 `드림허브`에 `드림 타워`(가칭)라는 이름의 150층, 높이 620m의 빌딩이 설계 확정단계다.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에는 첨탑 포함 국내 최고 높이인 640m(133층)인 `서울 라이트`(가칭)를 짓는 사업이 내달께 특수목적회사(SPC)를 세우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화된다. 각각 2016년, 2014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새 정부들어 탄력이 붙은 송파구 잠실의 555m(112층) 높이 제2롯데월드도 2014년까지 완공 계획을 갖고 있다. 이밖에 이번에 사업추진 제안을 넣은 강남 삼성동 한전부지 `그린게이트웨이` 랜드마크 빌딩이 있으며 종합운동장 부지(한호건설 컨소시엄 제안), 뚝섬 삼표레미콘 부지(현대차그룹 사옥 계획)에서도 각각 121층, 110층의 초고층 빌딩 프로젝트가 추진중이다. 세운상가 재정비촉진지구내에 960m에 달하는 초고층빌딩을 짓겠다는 중구의 의지도 꺾이지 않은 상태다. 특히 삼성동 한전 부지의 경우 서울시가 지난 1월 발표한 발표한 `대규모 용도변경 규제 유연화와 도시계획 운영체계 개선 방안`을 밝힌 후 처음으로 서울시에 접수된 민간 제안 사업이다. 이 같은 대규모 부지는 서울시 추산 96곳이나 되며 이들 대부분이 상업지역 등으로 용도가 변경되어 개발이 진행될 예정이어서 시내 곳곳에서 100층에 가까운 초고층 복합단지 사업이 크게 늘어날 가능성도 높다. ◇ 우후죽순 초고층 빌딩 得보다 失 초고층 빌딩 프로젝트가 추진되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사업주체들은 대표적으로 `막대한 자본투자에 따른 생산 및 고용 유발효과`를 거론한다. `뉴딜` 효과로 현재의 경제위기를 탈출하는데 일조하는 사업이 될 것이라는 얘기다. 최근 정부와 서울시가 초고층 및 대형 개발사업 허용 등과 같은 건축관련 규제완화 방침을 내놓으며 `수천억~수조원 규모의 생산 및 고용 유발효과가 있다`고 강조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고용이 창출되고 관광자원이 풍부해지며 스카이라인이 수려해 지는 것도 긍정적 효과다. 하지만 초고층 빌딩이 단기간 내에 여러 곳에서 추진됨에 따라 갖가지 우려도 제기된다. 한 개발업체 관계자는 "랜드마크 빌딩이라면 주변 다른 건물에 비해 눈에 띄는 특성을 가져야 하는데 이 같은 빌딩이 한 도시 안에도 이곳저곳에 있다면 상징성은 반감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도시 경관 개선차원에서도 `서울은 그저 초고층 빌딩만 많은 도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초고층 빌딩은 건축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임대료도 높게 책정해야 수지타산이 맞지만 랜드마크 역할이 분산되면 고가 임대 등의 수익성 확보도 쉽지 않다. 공급과잉 우려의 심각성은 이들 프로젝트의 완료 시기가 몰려있다는 데도 있다. 이들 초고층 빌딩의 완공시기가 대부분 2015년 전후라는 점에서, 단기간에 서울시내 사무공간이 늘어나게 되면 `오피스 공급 쇼크`마저 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으론 초고층 빌딩이 `수직형 미니도시`라는 점에서 완공 이후 증가할 교통량과 이에 따른 문제의 해결방안도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최근의 경기침체와 금융불안으로 자금조달이 제대로 이뤄질지도 불투명한 가운데 `장밋빛` 청사진만 연달아 제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금까지 서울시에 제안이 들어 온 것들이나, 민간 및 일부 자치구에서 자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들이 모두 현실화될 수는 없을 것으로 본다"며 "도시경쟁력이라는 큰 틀 안에서 각 사업간의 연관성 등을 고려해 허용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
'건축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시, 공공건설공사 적정이윤 보장한다 (0) | 2009.02.11 |
---|---|
세계 최대 규모 조력발전소 (0) | 2009.02.10 |
삼성동·잠실 일대 20조대 개발사업 추진 (0) | 2009.02.08 |
‘1대 1 재건축' 중대형 일반분양 못한다 (0) | 2009.02.08 |
"재건축 비용분담 3분의 2 동의 필요" (0) | 2009.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