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안승찬기자] 광주 등 호남권의 반발로 절름발이 신세였던 이명박 정부의 `5+2 광역경제권` 구상이 모양새를 갖추게 됐다. 이에 따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균형발전특별법 개정 등 광역경제권 정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지식경제부는 10일 그간 참여를 미뤄왔던 호남권이 선도산업 합의안을 제출함에 따라 `5+2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호남권은 `21세기 문화예술과 친환경 녹색성장의 창조지역`이란 모토로 신재생에너지와 친환경부품소재 산업을 지역의 신성장 선도산업으로 추진키로 했다.
지난해말 정부는 `5+2`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안을 발표했지만, 호남권이 광역경제권 정책에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며 그간 합의안 제출을 유보해왔다.
전라남도와 전라북도가 `호남권`이란 하나의 광역경제권으로 분류된 반면, 경상남도는 동남권, 경상북도는 대경권으로 각각 분류된 것은 지역차별적인 조치라는 반발이었다.
하지만 정부는 광주 R&D특구 지정 적극 검토, 클린디젤 특화 클러스터의 R&D 특구 연계, 전남-화순 생활철도 적극 검토 등 관계부처간 협의를 통한 노력으로 호남권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지경부는 "다른 지역보다 다소 준비가 늦어진 점을 고려해 호남권이 다른 권역과 보조를 맞추어 나갈 수 있도록 계획 수립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호남권의 참여를 계기로 균형발전특별법 개정 등 정부의 광역경제권 정책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현재 국회 소위에 계류중인 균형발전특별법 개정안의 경우 이윤호 지경부 장관이 "지경부 공무원이 징그러워서라도 통과시켜줄 정도로 노력해야 한다"고 특별히 당부했던 핵심 사안이다.
하지만 그간 호남권이 참여를 거부하면서 국회 통과도 쉽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참여정부 당시 `균형`을 강조했던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을 `광역경제권별 발전`을 강조한 지역발전특별법으로 개정하기 위해서는 호남권 등 모든 지역의 참여가 필수적이기 때문.
안현호 지경부 산업경제실장은 "균형위를 중심으로 광역경제권별 선도산업 육성의 취지를 이해시키기 위한 설득작업을 벌였다"며 "호남이 참여하게 됨에 따라 정부의 광역경제권 정책이 더욱 탄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식경제부는 일부 지역별로 중복되는 세부프로젝트를 조정하는 작업을 거쳐 빠르면 내달부터 구체적인 프로젝트 계획을 완성한다는 방침이다.
안 실장은 "5+2 광역경제권 선도사업에 올해 2017억원 등 앞으로 3년간 총 9000억원을 지원해 지역발전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