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유값 상승원인

2009. 2. 23. 18:41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휘발유 가격이 치솟고 있는 가운데 전체 주유소 중 18%만이 정유사로부터 석유제품을 공급받기 전에 가격을 확인, 결국 상당수 주유소가 공급원가도 모른채 소비자에게 판매함으로써 유통마진 확보를 위한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3일 국회 지식경제위 소속 한나라당 김태환 의원이 지식경제부로부터 제출받은 ‘주유소의 석유제품 거래관련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올해 1월에 걸쳐 전국 3277곳 주유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정유사로부터 석유제품을 공급받는 주유소 중 사전에 가격을 알고 제품을 주문하는 경우는 18.0%(591곳)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나머지 중 74%는 석유제품을 공급 받아 소비자 판매 이후에나 공급 가격을 확정짓는 것으로 드러나 공급 원가를 모른 상태에서 자체 유통마진을 위해 일반 소비자에게 최대한 높은 가격에 제품을 팔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김 의원은 주장했다.

이중 공급당일 가격을 확인하는 경우가 8.4%(275곳), 공급 다음날 확인하는 경우가 4.0%(130곳)였으며 공급받은 후 1주일∼1개월 이내에 가격을 확인하는 경우는 61.6%(2020곳)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타는 8.0%(261곳)이다.

즉, 74%에 달하는 주유소가 팔고 있는 석유제품의 공급원가도 모른채 일반 소비자에게 팔고 있는 셈이다.

통상 제품 구매 전 합리적인 가격 선택을 통해 제품을 주문하는 일반적인 유통과정과는 달리 공급가격을 사전에 알지 못하는 경우 주유소로서는 자체 영업마진을 확보하기 위해 최대한 높은 가격에 소비자들에게 공급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실제 조사대상 주유소 가운데 약 41%의 주유소가 이러한 사후 가격결정 방식이 석유제품 가격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3277곳 중 1329곳(40.6%)이 ‘그렇다’고 대답했으며, 1121곳(34.2%)이 ‘그렇지 않다’고 응답했다. 기타 18곳(0.5%), 무응답 809곳(24.7%)순이다.

김 의원은 “제품가격도 모르고 정유사로부터 석유제품을 공급받은 주유소는 자신들의 마진 확보를 위해 소비자에게 팔 때에는 최대한 높은 가격에 팔 수밖에 없어 결과적으로 국민들만 높은 가격에 석유제품을 사야한다”면서 가격결정 방식의 전면적인 재조정을 요구했다.

김 의원은 특히 “제품공급 후 가격 결정 구조는 정유사와 주유소간 가격 담합 등의 공정거래 위반의 소지가 있다”면서 정부측의 철저한 관리·감독을 주문했다.

/haeneni@fnnews.com정인홍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