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녹색인력' 집중육성책 제시"

2009. 3. 11. 10:06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정부 "'녹색인력' 집중육성책 제시"
'녹색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 및 관련법 제정 추진
박정일기자 comja@inews24.com



정부가 취약계층 취업난 극복 및 차세대 성장 동력 마련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방안으로 녹색인력 집중 육성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특히 '녹색직업능력개발법'을 제정해 新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녹색산업과 연계한 기업의 고용유지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하는 등 녹색성장 인력 육성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책을 내놔, 관련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권대봉 한국직업능력개발원장은 10일 서울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회 국정과제 세미나 '일자리창출과 녹색성장 전략 추진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국가발전전략에 따른 일자리 확충과 직업능력개발의 연계가 필요하다"며 정부 차원의 '저탄소·녹색성장' 관련 인력 육성 프로그램 마련 및 '녹색직업능력개발법 제정' 등의 대안을 내놨다.



권 원장은 녹색 일자리의 사례로 크게 ▲건물 개보수 ▲대중교통수단 및 화물열차 확대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시스템 구축 ▲풍력 발전 ▲태양광 발전 ▲차세데 바이오 연료 등으로 나눴다.

관련 일자리로는 전기기사, 건설장비 운전기사, 토목기사, 소프트웨어 개발자, 환경엔지니어, 화학기술자 등을 예로 들었다.

그는 우선 해당 인력 육성을 위해 우선 '녹색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현행 평생학습계좌제를 녹색직업능력개발 지원 체제로 전환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이와 연계한 기업의 고용유지를 위해 대학과 기업 간 공동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하고, 신규인력 채용 시 교육훈련비용을 지원하는 등의 방안도 제시했다.

이와 더불어 미국의 'Green Jobs Act'를 예로 들며 '녹색직업능력개발법'을 제정해 녹색기술을 위한 新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녹색직업능력개발 제도'와 관련, "현 경제위기 해결과 미래 기회창출을 통해 녹색성장 드라이브를 위한 선제적 추진 기반을 마련하고 녹색시장의 형성과 녹색소비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며 "더불어 고용취약계층 지원을 통해 학습-고용-복지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할 수 있다"고 기대효과를 설명했다.

한편 이에 대해 정종수 노동부 차관은 "현재 가지고 있는 직업훈련분야 우선선정직종을 적용해 얼마든지 도입·확대할 수 있다"이라며 "관련법에 대해서는 미국의 'Green Jobs Act' 등을 면밀히 살펴 실효성을 검토할 것"이라고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어 진영곤 여성부 차관은 "녹색성장 관련 직종은 여성의 진출이 쉽지 않은 만큼 여성들에 대한 맞춤형 인력 육성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인기있는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여성 참여 쿼터제를 도입하는 등의 적극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