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재테크 시장…자산시장 어디로

2009. 9. 13. 07:17이슈 뉴스스크랩

헷갈리는 재테크 시장…자산시장 어디로
[매일경제] 2009년 09월 12일(토) 오후 06:17   가| 이메일| 프린트

◆ 논쟁으로 보는 하반기 재테크

한국 경제는 물론 세계 경제가 회복 기미를 보이면서 향후 자산시장 흐름에 대한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금융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각국 중앙은행과 정부가 대거 돈을 푼 탓에 일각에선 인플레이션을 우려한다.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은 아니지만, 한국의 경우 부동산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상당수 전문가들은 출구전략을 준비해야 하지만 아직은 시기가 아니라는 의견을 내놓는다.

모건스탠리는 최근 한국 경제에 대한 보고서에서 “연말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로 보고 있고 인플레이션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고 내다봤다. 물가가 오르더라도 그 시기를 올해 말이나 내년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각에선 자칫 섣부른 출구전략으로 경기가 더블딥에 빠질 것을 걱정한다.

경기 전망이 엇갈리면서 자산시장에 대한 논란도 거세다. 주식시장에서도 하반기 조정설과 대세 상승론이 맞선다. 원유 등 원자재 가격이 거품이란 주장과 경기 상승에 맞물려 상승세를 탈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주식, 부동산, 채권 등 자산시장에 대한 논쟁과 이에 따른 영향을 집중 조명했다.

서울 성내동에서 전세로 살고 있는 김모 씨(39)는 최근 ‘5000만원 이상 전세금을 올려달라’는 집 주인 말에 속병 중이다. 지난해 말부터 서울 강남권과 분당에서 내집마련을 생각했었지만 우물쭈물하던 사이 상황이 급변했다. 김 씨는 “분당 지역 아파트를 생각하고 있었는데 2~3개월 사이에 1억원 이상 올라 매입이 불가능해졌다”면서 “사상 최대 금융위기 운운하더니 아파트값은 뛰고 대출금리도 상승 추세라 당분간 전세로 살 수밖에 없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실제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은 703조2170억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700조원을 넘어섰다.

부동산 가격은 흔히 경기지표 중 하나로 인식된다. 부동산 가격이 뛰면 다른 자산 가격도 오른다는 게 일반적인 인식이다.

저금리와 맞물린 풍부한 유동성이 부동산 과열 조짐으로 이어지면서 ‘출구전략’ 논의가 시작되는 것 또한 같은 맥락이다. 자칫 실기할 경우, 경제에 거품이 낄 수 있다는 우려다. 실제 정부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재정건전성 악화를 감수하고 사상 최대의 추경을 편성하는 등 자금을 대거 풀었다. 금리도 2%대를 유지하고 있다. 적극적인 정부 정책으로 경기는 바닥을 치고 올라가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이에 따라 급격한 물가 상승 등 과잉 유동성 부작용을 막기 위한 출구전략이 화두다. 하지만 정부는 여전히 조심스런 입장이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이 많아 출구전략을 실행하기는 이르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인플레이션보다는 디플레이션이 더 문제라는 의견도 여전하다. 샤론 램 모건스탠리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경제 성장세가 예상보다 강하지만 과열 수준은 아니다”면서 “한국의 유동성 여건이 과도하지 않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얼마 전 한국 경제에 대한 전망치를 내놓은 국제통화기금(IMF)도 비슷한 견해다. IMF는 ‘한국 연례협의 보고서’를 통해 내년 성장률을 2.5%로 내다보면서 현재 통화정책이 적절하다고 분석했다. IMF는 한국이 경기침체에서 완전히 벗어나기 위해선 충분한 재정 여력을 바탕으로 2010년까지 확장 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하지만 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고, 국내에선 부동산을 필두로 물가가 들썩이고 있어 정확한 판단을 어렵게 하고 있다.

재테크에서도 사정은 비슷하다.

정부의 통화와 재정정책 여부에 따라 증권시장은 물론 채권과 부동산시장도 영향을 받는다. 증권시장에선 출구전략이 하반기 조정 여부의 바로미터로 여겨진다. 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채권도 사정은 마찬가지. 부동산시장은 상승세라는 분석이 많지만 이상과열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선진국의 경기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늦어지면 한국 경제와 주식시장에는 악재다.

반면 인플레이션이 금과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 및 상품 관련 주식이나 파생금융 상품들에는 유리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 부동산의 경우, 가격뿐 아니라 대출금리와 정부의 규제책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금리가 오르는 상황에서 정부 규제가 강화되면 가격 안정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실수요자들의 내집마련이 어려울 수도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한 연구원은 “최근 경기가 정부 정책에 영향을 많이 받는 만큼 자산시장에서도 이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정부에서도 본격적인 출구전략을 시행하기 이전에 시장에 충분한 신호를 줘서 준비를 하는 과정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김병수 기자 bskim@m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