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

2009. 12. 11. 09:41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2009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

지난 7월 중국 베이징에서 세계 최초의 싱크탱크 회의가 열렸다. 중국의 슈퍼 싱크탱크로 부상한 중국국제경제교류센터 주최로 열린 이 회의에는 당초 예상을 뛰어넘는 200여 명의 해외 전문가들이 참여해 글로벌 금융 위기의 원인과 해결 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흥미로운 것은 이번 세계 싱크탱크 회의를 연 곳이 전통적인 싱크탱크의 강국인 미국이 아니라 중국이라는 점이다. 중국은 이미 자국 내 싱크탱크 육성에 엄청난 투자를 하고 있다.

최근 금융 위기는 싱크탱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줬다. 전 세계 싱크탱크들의 신속한 위기 경고와 다양한 해법 제시는 사상 유례없는 대혼란을 예상보다 빨리 헤쳐 나가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다. 10여 년 전 외환위기 때와 비교해 가장 눈에 띄게 달라진 것은 위기를 전후해 국내 연구소들이 엄청난 양의 분석과 보고서들을 생산해 냈다는 점이다. 이런 노력들이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일 수 있게 한 중요한 원동력이 됐다는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문제는 규모가 아닌 메시지 발신력

많은 전문가들은 ‘싱크탱크 전성시대’의 도래를 점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정보의 벽을 무너뜨린 정보기술(IT) 혁명이다. 지난해 ‘미네르바 현상’이 잘 보여준 것처럼 정보의 비대칭성이 사라지면서 전문가와 비전문가를 쉽게 판단할 수 없는 시대가 됐다. 전문적 학위를 갖지 않은 아마추어도 얼마든지 정보를 획득하고 깊이 있는 분석을 해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제 중요한 것은 학위나 소속 연구 기관의 규모가 아니라 ‘메시지 발신력’이다. 이는 놀라운 기회다. 물론 이러한 변화는 기존 싱크탱크에는 도전과 위기를 의미한다. 이제 기존의 명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쉽게 모방할 수 없는 연구 테마와 연구 방법을 개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번 설문 조사는 지난해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됐다. 하지만 설문 대상자는 120명에서 184명으로 크게 늘렸다. 조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정부 출연 연구소, 기업 연구소, 비정구기구(NGO) 연구소의 연구원과 대학교수를 같은 비율로 구성했다. 설문은 전체 연구소를 외교·안보, 정치·사회, 경제·산업, 여성·노동, 과학·기술, 환경 등 6개 분야로 나눠 진행했다. 해당 전문가들에게 △대외적 영향력 △연구 보고서의 질 △연구 인력의 역량 △연구소의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각 분야에서 ‘최고 싱크탱크’라고 생각하는 연구소 10개를 우선순위대로 답하도록 해 추천 점수를 합산했다. 다만 과학·기술 분야는 연구 영역이 다양하고 연구 성과의 단순 비교가 쉽지 않다는 특성을 감안해 작년과 마찬가지로 연구비 규모를 기준으로 선정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선정한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는 각 분야 상위 연구소들을 뽑은 것이다. 100대 싱크탱크에는 각 분야에서 활동하는 연구소 수, 중요성 등을 고려해 경제·산업 40개, 정치·사회 20개, 외교·안보 10개, 여성·노동 10개, 과학·기술 10개, 환경 10개를 포함시켰다. 이를테면 경제·산업 분야의 경우 설문 조사 결과 1~40위까지 40개 연구소가 ‘100대 싱크탱크’에 들어갔다.

해외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싱크탱크 평가가 이뤄지고 있다. 미국 미디어 감시그룹 페어(FAIR)는 매년 미국 내 주요 신문과 방송의 인용 횟수를 분석해 산출한 싱크탱크 순위를 발표한다. 국제경제연구소(IIE)도 미국 내 12개 주요 신문과 잡지의 인용 횟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발표하는데, 상대적으로 경제 분야에 비중이 높은 편이다. 국내에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것은 미국 외교정책연구소(FPRI)의 ‘글로벌 싱크탱크 조사’다. 올해 초 발표된 2008년 조사에 국내에서는 KDI가 유일하게 ‘아시아 톱 25’에 16위로 이름을 올렸다. FPRI의 조사 방법은 ‘대한민국 100대 싱크탱크’ 조사와 동일하다. 각계 전문가들의 추천을 받아 순위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100대 싱크탱크에 포함된 연구소들을 분석해 보면 흥미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유형별로 보면 정부 연구소(출연 연구소 포함)가 39개로 가장 많고 기업 22개, 시민단체 20개, 공공(각종 단체 연구소, 공익 연구소) 13개, 대학 6개 순이다. 민간 연구소들이 크게 늘었다고는 하지만 아직은 정부 관련 연구소들이 국내 싱크탱크의 주축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다. 100대 싱크탱크를 지역별로 나누면 서울 편중 현상이 두드러진다. 81%가 서울에 소재지를 두고 있으며 경기도(13개)를 포함하면 이 수치는 94%까지 올라간다. 서울과 경기 이외 지역에 있는 연구소는 손에 꼽을 정도다.


조사 개요
조사 기간: 2009년 11월 16~30일
조사 대상: 분야별 전문가 184명
조사 방법: e메일 설문 및 방문 조사
설문: 한경비즈니스
분석: M&C리서치


장승규 기자 skjang@kbizweek.com



입력일시 : 2009년 12월 8일 16시 31분 31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