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5. 7. 09:00ㆍ건축 정보 자료실
KDI, 재무건전성 평가 결과 232곳 위험
"정부지원·규제완화보다 구조조정" 목소리
건설업체 8곳 중 1곳이 '부실 위험기업'인 것으로 조사됐다. 만약 이 건설사들이 연쇄 부도로 이어질 경우 금융권 피해 규모가 5조원을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건설업계의 재무구조 악화가 수년간 누적된 구조적인 문제인 만큼, 정부 지원이나 규제 완화보다는 구조조정을 통해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6일 '건설부문의 재무건전성 악화에 대한 평가' 보고서에서 2008년 현재 외부감사 대상 건설업체 1,782곳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이중 13%인 232곳이 부실위험이 큰 것으로 분류됐다고 밝혔다.
KDI는 과거 부도업체들의 특성을 감안해 ▦자본잠식이거나 부채비율이 500%를 넘고 ▦영업적자이거나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영영이익으로 금융이자도 내지 못한다는 뜻)이고 ▦총부채에서 단기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60%를 넘는 등 3가지 요건에 모두 해당하는 건설업체를 '부실 위험기업'으로 정의했다.
이 분류에 따르면 부실 위험 건설사 비중은 2002년 7.1%(79곳)을 저점으로 2004년 8.5%(116곳), 2006년 11.7%(163곳) 등 해마다 급증하는 추세다. 보고서는 "비재무적인 요인을 감안하기 어려워 상당히 보수적으로 기준을 잡았는데도 부실 위험기업 비중이 상당했다"며"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3개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 미만으로 부실 위험기업을 정의한다면 부실 위험 기업 수는 훨씬 더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 부실 위험기업이 건설업계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008년 기준 1조3,000억원) 가량에 불과하지만, 부채 비중은 6%(7조7,000억원)에 달한다. 과거 건설업체 부도시 채권 회수율이 35% 인팎인 점을 감안할 때, 이들 기업이 모두 부도로 이어지는 경우 금융권 전반에 미칠 피해는 5조원 안팎에 달할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작년 이후 건설업 경기가 더 침체된 것을 감안하면 부실 위험기업 수와 부채 규모는 더 확대됐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보고서는 외부감사 대상 건설업체의 평균 부채비율은 200% 남짓이지만 보증채무(시행사에 대한 지급보증)까지 감안할 경우 500%까지 급등한다고 지적했다. 도급순위 상위 30개사의 경우에도 2009년 기준 부채비율이 182%이지만, 지급보증을 포함하면 293%로 치솟는 것으로 분석됐다.
임경묵 KDI 연구위원은 "건설업계의 재무건전성 악화가 구조적 문제인 만큼 정부 지원이나 규제 완화를 통해 극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업계 자체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건설업체 자체는 물론 시행업체 지급보증까지 감안해 재무 상태를 엄격히 진단하고, 우발채무에 대한 공시를 강화하는 등의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영태기자 ytlee@hk.co.kr
'건축 정보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억대 고급주택은 뭐가 다를까 (0) | 2010.05.08 |
---|---|
공공관리제도 시대 개막 (0) | 2010.05.07 |
'공공관리제' 앞두고 재건축·재개발 단지 갈등 몸살 (0) | 2010.05.06 |
건설업체 `빚 갚기` 현금조달 한창 (0) | 2010.05.01 |
대형마트·백화점은 지금 ‘그린물결’ (0) | 2010.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