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하시면 원본크기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http://l.yimg.com/go/news/picture/2010/70/20101206/2010120606035743070_060630_0.jpg)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동·서·남해상에서의 사격훈련을 6일부터 오는 12일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번 훈련이 실시되는 구역은 서해 16곳, 동해 7곳, 남해 6곳 등 모두 29곳이다.
서해는 서북도서 지역인 대청도 남서방을 비롯한 격열비열도 남방, 안마도 남서방, 대천항 근해, 미여도 근해, 직도 근해, 안흥 남방, 어청도 서방, 흑산도 남서방, 초치도 북서방 등 16곳에서 사격훈련이 실시된다.
서해 훈련 구역 중 대청도 남서방에서는 남서쪽 방향으로 훈련이 진행된다.
동해에서는 포항 동북방과 강릉 동방, 울릉도 근해, 울산 동방, 영일만 동방, 거진 동방, 기사문 동방 등 7곳이며, 남해는 욕지도 남동방, 거제도 남동방, 남형제도 근해, 제주도 동방, 추자도 근해, 서귀포 근해 등 6곳에서 훈련이 실시된다.
◈ "연평도는 주민안전 등 고려해 시기 결정"
그러나 북한의 연평도 도발의 빌미를 제공한 연평도와 백령도 지역은 이번 훈련 구역에 포함되지 않았다.
특히, 연평도 일대에서의 K-9 자주포 사격훈련은 실시 시기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김관진 국방장관은 취임 직후 "연평도 사격훈련은 날씨가 허락하면 제반여건을 고려해 가급적 빨리 실시할 것"이라며 훈련 실시에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군은 연평도의 해상사격훈련은 이 지역에 대한 전력증강 추이와 주민 안전, 기상조건 등을 고려해 실시 시기를 결정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연평도 사격훈련은 이 지역에 대한 전력증강 작업이 마무리되고 김 장관이 업무를 어느 정도 파악한 시점인 이번주 이후가 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다만, 미국이 연평도 사격훈련에 대해 반대 또는 연기 입장을 우리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져 현재로서는 훈련 실시를 단언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 北, "앞으로 사태 누구도 예측할 수 없어"
이런 가운데 북한은 이번 사격훈련에 대해 '전면전' 운운하며 또다시 위협을 가해왔다.
북한은 5일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남한의 해상사격훈련 재개 계획과 연내 연합훈련 추가 실시를 위한 한미간 협의 등을 거론하면서 "앞으로 사태가 어떻게 번져지겠는가 하는 것은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며 으름장을 놨다.
통신은 "괴뢰들의 도발적 광란으로 조선반도 정세는 통제 불능의 극한상황으로 치달아 오르고 있고 전면전이 터지면 조선반도뿐 아니라 지역의 평화와 안전에도 엄중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djlee@c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