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한 속 민생행보 ‘친서민 불씨 살리기’

2010. 12. 17. 09:07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혹한 속 민생행보 ‘친서민 불씨 살리기’

MB, 미소금융 개소식 참석·나들가게 방문… 추락한 신뢰회복 나서

경향신문 | 박영환 기자 | 입력 2010.12.16 22:01

 

이명박 대통령연평도 사태와 새해 예산안 날치기 정국을 거치면서 퇴색해버린 친서민·공정사회 기조의 불씨 살리기에 나섰다.

이 대통령은 16일 서울 상계동의 미소금융 100호 지점 개소식에 참석했다. 영세상인 등 서민들에게 무담보·무보증 대출을 해주는 미소금융은 이명박 정부가 내세우는 대표적인 친서민 정책 중 하나다.

이명박 대통령이 16일 서울 상계동 미소금융 100호지점 개소식에서 기념떡을 자르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이 대통령은 개소식에서 기념 시루떡을 함께 자르고 벽시계를 달아줬다. 또 미소금융 수혜자들을 만나 "내가 이 제도를 하자고 하니까 돈 떼일 일을 한다고 보더라"며 "그래도 없는 사람들은 제때 못 갚아도 꼭 갚는다. 돈을 안 떼먹는다는 것은 내가 보증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미소금융을 통해 김밥집과 붕어빵 가게를 계속 운영하고 있는 사례들을 거론하며 서민정책의 효과도 강조했다. 오랜만에 찾은 민생현장에서는 젊은 시절 재래시장에서 노점상을 했던 자신의 경험도 다시 소개했다.

이 대통령은 인근의 '나들가게'도 찾았다. 기업형슈퍼마켓(SSM)에 대응해 자생력을 갖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슈퍼마켓이다. 이 대통령은 이곳에서 2000원짜리 바나나 한 다발을 사면서 "옛날에는 바나나 먹고 싶어도 1년에 한 번씩 먹을까말까 했는데…"라고 말했다. 부동산 경기가 침체돼 어렵다는 한 인테리어 업체 사장의 하소연에는 "부동산은 조금씩 살아나는 것 같더라"고 격려했다.

이 대통령이 혹한 속에서 민생현장을 찾은 것은 정부의 핵심 국정기조로 제시한 친서민, 공정사회 기조를 되살리려는 작업으로 풀이된다. 예산안 날치기 과정에서의 복지예산 누락과 '실세예산' 증액, 민간인 사찰과 대포폰 논란 등으로 추락한 국민적 신뢰를 현장행보를 통해 만회해보겠다는 취지다. 이 대통령이 지난 14일부터 시작된 내년도 정부부처 업무보고에서 일자리 창출, 금융기관의 사회적 책임,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등을 잇따라 강조하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하지만 국민적 비판에 대한 근본적 대답은 외면한 채 현장행보라는 '낡은 레퍼토리'를 반복하는 것만으로는 국정기조에 대한 여론의 지지를 되살리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

< 박영환 기자 yhpark@kyunghya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