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보, 저축은행 부실 알고도 방치?

2011. 2. 27. 11:47이슈 뉴스스크랩

예보, 저축은행 부실 알고도 방치?
[아시아투데이] 2011년 02월 27일(일) 오전 07:00   가| 이메일| 프린트
[아시아투데이 정해용 기자]
[아시아투데이=정해용 기자] 예금보험공사(대표 이승우·이하 예보)가 저축은행부실화 우려가능성을 이미 지난해 말 알고 있었음에도, 저축은행중앙회나 금융당국에 어떤 경고음도 보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보는 앞으로 4조원 안팎의 차입을 통해 저축은행 부실 사태를 수습할 계획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예보는 지난해 12월 ‘2010년 4분기 저축은행업 경영위험분석’자료를 통해 △시중금리 상승 시 저축은행의 수익성 악화 △부동산 경기회복 지연에 따른 자산건전성 악화 △신용대출 확대에 따른 신용리스크 증가 등, 저축은행 사태 대부분을 지적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저축은행은 2007년 상반기까지 예대마진이 6%내외를 기록했지만 2009년 초에는 4.27%까지 급감했다.

보고서는 “대출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연체대출이 증가하면서 이자수익은 큰 변동이 없었던 반면, 수신금리는 시중금리에 연동해 급상승하면서 저축은행의 조달비용이 급등한 것이 (부실화의) 주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또 “전체 예금 중 잔존 만기 1년 이내인 예금의 비중이 91.5%에 달하는 반면, 대출의 남은 만기 1년 이내인 비중은 70.1%에 머물러있어, 금리상승이 본격화 될 경우 이자비용이 이자수익에 비해 상대적으로 빨리 변동해 순이자마진이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결국 갚을 돈의 비중이 많은데 비해 받을 돈의 비중은 적어 금리인상의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저축은행의 주요 투자처인 프로젝트 파이낸싱(PF)대출에 대해서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효과가 크지 않아, PF대출에 편중된 저축은행들의 리스크요인이 가중될 수 있음을 적시했다.

또 지난해 6월말 기준 저축은행의 개인신용대출 잔액은 3조6600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9000억 원(32.4%) 증가했다는 점을 들어, 신용리스크에 대해 지적했다.

하지만 결국 저축은행 부실화를 막지 못했다.

금리인상이 저축은행에 부실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 예보 이외의 기관에 전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예보 관계자는 “지난해 9월 기준으로 업계를 분석한 내부자료”라고 설명했다.

결국 위험 요인을 전체적으로 분석해 놓고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못한 채, 업계 위기를 그대로 방치한 셈이다.

이 보고서가 저축은행 부실화 가능성을 지적할 당시 2.25%이던 기준 금리는 물가상승압력이 거세지자 지난해 11월 16일 2.50%, 지난 1월 13일에는 2.75%로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역시 지난해 4분기 전 분기에 비해 2조9000억 원이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은 가계대출액을 9000억 원이나 늘렸다.

예보와 저축은행중앙회, 금융당국 등의 소통과 의견교환이 아쉬운 부분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예보와의 자료 공유나 정기적 의견교환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런 경우는 없다”고 말했다.



{ ⓒ '글로벌 석간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 }
정해용(기자) jhy@asia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