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다피 정권에 군사 개입 가능성 급부상

2011. 3. 1. 09:12이슈 뉴스스크랩

카다피 정권에 군사 개입 가능성 급부상

YTN | 입력 2011.03.01 05:34

 

[앵커멘트]

민간인 학살을 자행한 카다피 정권에 대해 유럽연합이 제재에 착수한데 이어 국제형사재판소도 조사에 들어가는 등 국제사회의 압박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국제사회가 군사적으로 개입할 가능성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런던에서 류충섭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인권위원회 긴급회의에서 각국 외무 장관들은 한목소리로 카다피 정권을 규탄했습니다.

[녹취: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
"그들은 정당한 통치력을 상실했습니다. 리비아 국민들은 분명한 뜻을 밝혔습니다. 카다피가 더이상 폭력없이 바로 물러날 때입니다."

사실상 카다피 제거를 공식화한 발언으로 군사적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와 관련해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군사력 사용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며 리비아에 비행금지 구역을 설정하는 방안을 동맹국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카다피가 전투기로 반정부 시위대를 공격할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조치로 미국과 유럽연합은 나토 공군력 동원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유럽연합은 이와 함께 리비아에 대한 본격 제재에 착수했습니다.

카다피 원수와 가족 그리고 측근 인사의 자산을 동결하고 리비아에 대한 무기 수출을 금지하는 제재안을 승인했습니다.

[녹취:캐서린 애슈턴, EU 외교정책 대표]
"이제 시행할 때입니다. 공동 보조를 맞춰야 합니다. 충격을 가장 크게 주기 위해서는 함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제형사재판소도 리비아 사태에 대한 예비 조사에 들어갔습니다.

반인도적 범죄행위가 확인될 경우 카다피를 국제 법정에 세울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녹취:루이스 모레노 오캄포, ICC 수석 검사]
"2월 15일 이후 심각한 범죄행위에 초점을 맞춰 조사하겠습니다. 민간인에 대한 군사공격 의혹이 사실이라면 그것은 반인륜적 범죄입니다."

이같은 전방위 압박에도 불구하고 카다피 정권이 끝까지 버텨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유엔을 통한 군사적 개입 수순으로 넘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런던에서 YTN 류충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