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편의점 알바와 영화 <도가니>

2011. 9. 29. 06:09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광화문] 우리동네 편의점 알바와 영화 <도가니>

 

image
'우리 동네 담배가게에는 아가씨가 예쁘다네. 짧은 머리 곱게 빗은 것이 정말로 예쁘다네…' 송창식이 부른 '담배가게 아가씨'에는 낭만이 있었다. 그래서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건, 피우지 않는 사람이건 노래를 들으면 향수가 느껴진다.

아직도 담배를 못 끊은 기자는 늦은 밤 가끔씩 동네 24시간 편의점을 찾곤 한다. 아가씨는 아니지만 앳된 청년이 두 달 전부터 담배를 팔고 있다. 스무살이 갓 넘은 것 같은데, 날이 갈수록 얼굴이 창백해지는 듯했다. 눈이 따가울 정도로 밝은 형광등 아래서 밤을 지새는데 오죽할까 싶었다. 인공조명에서 나오는 자외선은 태양광의 2배라고 하지 않는가.

이 청년은 밤 10시쯤 출근해서 아침 7시쯤 퇴근한다. 이렇게 해서 버는 돈은 기껏해야 최저시급일터. 심신이 망가질 정도로 밤새 일해도 큰돈이 되지 못한다. 계산대 옆에 놓여있는 영어단어집이 안쓰러워보였다. 이 곳에는 낭만도 없고, 향수도 없다. 창백한 얼굴만 있을 뿐이다.

이 청년을 지난 주말 영화관 매표소 앞에서 우연히 마주쳤다. 아는 척하기 어색했지만 자꾸 시선이 갔다. 영화 <도가니>관으로 들어가는 줄에 서있었다. 꼬박 밤을 새면 지쳐서 나가떨어질 텐데 스트레스 확 풀리는 할리우드 액션영화도 아니고, 왜 하필이면 가슴 도려낼 듯 아프게 하는 이런 영화를 선택했을까. <도가니>는 광주 한 장애인학교에서 교장 등에 의해 자행된 무참한 성폭력 사건을 고발한 영화이다. 재미와 스릴이 아니라 인권유린과 실패하지만 살아있는 정의를 말하는 영화다. 이 청년은 왜 스릴보다 정의를 선택했을까.

그의 마음에는 '착한 분노'가 있었으리라. 매일 밤 새우며 돈 벌어도 등록금 대기조차 빡빡한 자신의 처지보다 더 비참하게 유린당하는 사람들에 대한 착한 연민이 있었으리라. 기자는 그 청년의 손에 팝콘이라도 한 봉지 쥐어주고 올걸 영화 보는 내내 후회했다.

우리나라의 편의점 수는 2만개가 넘는다. 청년 1명씩만 밤에 일한다 쳐도 2만 명의 청년들이 10분만 있어도 머리 지근지근한 수십 개 형광등 아래에서 밤을 지새고 있다. 어차피 시급 받고 밤새워 일할 어른들은 별로 없지 않는가. 편의점 뿐 아니라 맥도날드, 롯데리아 같은 패스트푸드 업체와 커피 프랜차이즈까지 24시간 영업을 하는 나라이다. 20대 청춘들의 밤샘 노동을 전제로 말이다.

이 또한 유린이 아닐까. 낮 시간도 부족해 24시간 영업을 내세워 대한민국이 청년들을 유린하고 있다. 차라리 <도가니>에서처럼 유린의 주체가 분명하면 연대해서 저항이라도 해볼 텐데, 24시간 편의점 청춘들에 대한 유린은 사회질서로부터 자행되고 있다. 누구도 책임지려 하지 않고, 누구의 책임인지도 불분명하다. 저항조차 할 수 없기에 더 무서운 유린이다.

소비자들의 편의를 얘기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심야영업을 통한 수조원대 소비시장 확대를 얘기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나쁜 일자리도 없는 것보단 낫다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수만, 수십만 청춘을 유린하는 편의라면 차라리 불편한 게 낫고, 24시간 영업으로 늘어나는 소득이라면 차라리 덜 벌어도 청년들을 밤에 재우는 게 낫지 않을까. 청년들을 창백하게 죽어나가게 하는 일자리라면 차라리 없는 게 낫지 않을까. 최저시급만 정할 게 아니라 최대영업시간도 정해야 할 상황 아닌가.

다시 보니 담배가게 아가씨만 예쁜 것이 아니었다. 할리우드 액션영화가 아니라 <도가니>를 선택한 우리 동네 편의점 알바 친구도 참 예뻤다. 24시간 편의점에 진열 시키기엔 너무 아까운 청춘이다. 예쁘니까 청춘이다. bry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