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4. 18. 18:00ㆍC.E.O 경영 자료
[주간 인사이트] 국가 지능망 정비할 ‘데이터廳’ 신설이 필요하다 - 영국은 2011년 설치, 호주 싱가포르 등 주요국 속속 뒤따라가
작성자 : 이광재 2019.04.12 조회수 : 1694
우리나라가 자타 공인 정보화 강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1990년대 말의 인터넷망 구축 때문이었다. 인터넷을 통해 향상된 정보 접근성은 ICT 기술발전의 촉매가 되어 전자정부 및 ICT 발전지수 세계 1위(’16년, 국제전기통신연합) 국가가 되었고, 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인터넷 속도를 자랑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가 현재 마주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이 여는 미래는 여기서 더 나아가 모든 사람과 사물이 연결되는 사회다. 더 많은 데이터가 끊임없이 수집·축적되고,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활용하여 더 빠른 실행과 올바른 의사결정 그리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시대로 바뀌고 있다. 데이터가 주도하는 ‘초연결 지능형 네트워크’ 사회가 눈앞에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초연결 지능형 네트워크’는 그동안 데이터의 볼륨과 이동속도의 한계로 불가능했던 많은 것들을 현실화하고 있다.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이 융합된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스마트홈 등 혁신적인 서비스가 출현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은 차세대 지능망의 중요성과 영향력을 인식하여 모든 사람과 사물을 신경망과 같이 연결하는 ‘초연결 지능형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인프라와 데이터 정비에 사활을 걸고 있다. 우리 역시 지난해 말 5G 무선이동통신을 세계 최초로 개통하는 등 차세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C.E.O 경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저임금의 배신..20대 "알바 못 구해 생계 더 막막" (0) | 2019.04.18 |
---|---|
유턴기업 43% 인건비에 공장 못 돌려 (0) | 2019.04.18 |
문재인 좌익독재정권 맞서는 100여명 변호사의 변호사 연합 발족 (0) | 2019.04.18 |
바다 없는 충북 "미래해양과학관 짓게 돈 달라", 부산은 "10조 규모 北개발은행 설립 도와달라" (0) | 2019.04.18 |
대법원장!!! 박근혜 대통령 석방에 관해 법적 책임을 알려 드립니다. (0) | 2019.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