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가 안팔린다

2007. 9. 4. 10:57부동산 정보 자료실

[지금 부동산시장은<상>강남 아파트 입주지연…용산도 거래부진]건자재 유통업을 하는 민모씨(45)는 지난 3월 입주를 시작한 서울 광진구 자양동 더 � 스타시티에 들어가기 위해 작년 말 분당에 있는 주상복합 아파트를 내놓았으나 아직도 팔리지 않아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살고 있던 주상복합
아파트 시세를 내리고 또 내려 시세보다 2억가량 저렴한데도 보러오는 사람조차 없다.

"살고있던 집을 팔아 잔금을 치르려 했는데 집이 안팔려요" 민씨는 이 같이 하소연하며 "최근 3∼4동안 오른 집값이 모두 휩쓸려 내려간 기분"이라며 씁쓸해 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에 편입된 서울 용산구 이촌2동과 한강로3가 일대 낙후지역이 국제업무지구에 들어간다는 소문이 시장에 유포된 것은 지난 4월. 그럼에도 전입자수는 그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촌2동의 경우 소문이 불거진 4월에는 162명이 이사왔고 5월에는 201명 늘었다. 6월에는 172명, 7월에는 158명으로 전입인구가 오히려 줄어들었다.

반면 같은 시기 국제업무지구에 포함되지 않는 이촌1동의 경우 4∼7월사이에 모두 723명이 옮겨와 이촌2동 전입인구를 앞섰다. 적잖은 투자수익이 예상되는 초대형 개발프로젝트가 추진됨에도 과거와 달리 투기꾼의 준동이 보이지 않은 것이다.

부동산시장의 풍속도가 달라지고 있다. 버블세븐 지역의 집값이 소리 소문없이 큰 폭으로 떨어져도 이를 떠받쳐주는 매수세력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참여정부들어 수많은 대책이 나올 때마다 집값이 조금이라도 떨어지면 달라들어 다시 집값을 올려 놓던 추격매수세력이 사라진 것이다.

강남요지의 새 아파트 입주가 지연되고 있는 것도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그림. 일부 아파트는 입주를 시작한 지 서너달이 지나도록 입주예정자가 살고 있는 집이 팔리지 않거나, 전세 수요자를 찾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입주율 100%'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투기예상 지역에 오히려 찬바람이 불고 있다. 강북의 `
트라이앵글� 축을 이루고 있는 용산이 대표적인 사례. 이전에는 그 예를 찾아볼 수 없을정도로 주택과 토지거래가 부진하다. 남양주 진접택지개발지구에서는 경쟁률 0.14대 1에 불과한 평형이 나오며 대량 미분양사태를 맞이하기도 했다. 지방이 아닌 수도권의 양호한 택지가 수요자들로부터 철저하게 외면 당한 것이다.

세제조치와 대출 규제 등 부동산 대책에다,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주식시장에 밀려 있는 부동산시장에 이제까지는 잘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풍속도들이다.

새로운 주택분양 방식인
청약가점제분양가상한제와 사전적 투기대책 등이 이러한 신풍속도를 하나의 트렌드로 고착화시킬 수 있을까.

한 부동산 전문가는 "이전의 부동산시장에서는 없었던 새로운 현상들이 국지적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강남이 주택시장의 주도권을 잃어버렸다거나 그 위력이 현저히 떨어졌다고 말할 수는 없다"면서 "입맛에 맞는 물건을 찾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게 현재 인기를 끌고 있는 주요 지역의 현실이듯 부동산투자의 양태에도 적잖은 변화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주택업체들이 미분양으로 인해 고전하고 있는 와중에도 분양 대기물량이 급증하고 있다.

이는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업체들이 분양을 서두르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중견업체의 도산까지 야기한 미분양 사태가 더 꼬여갈 전망이다.

건설교통부는 7월에 주택건설인허가를 받은 민간주택(주상복합아파트 포함)은 4만4천421가구로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작년 7월(5만3천582가구) 이후 12개월만에 최대인 동시에 올 상반기 월평균 인허가건수(1만9천718가구)의 2.3배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1만924가구로 가장 많고 부산(9천678가구), 서울(7천34가구), 울산(4천248가구), 경북(3천482가구), 충남(1천856가구), 광주(1천559가구), 경남(1천136가구) 등도 상당한 규모다.

7월 주택건설승인건수가 많은 것은 주택업체들이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앞다퉈 절차를 서두르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통상 주택건설승인 이후 분양승인신청까지 2-3개월 소요되는 것을 고려하면 7월에 승인난 물량은 11월말까지는 분양승인신청이 가능해 상한제를 피할 수 있다.

주택업계에서는 7월 이후 지난달 말까지는 주택건설승인신청이 지속적으로 늘었을 것으로 보고 있어 8-9월 승인건수도 7월에 못지 않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6월말 기준 미분양주택이 9만여가구에 이르는 상황에서 주택업체들이 잇따라 분양에 나설 경우 미분양 물량은 더 늘어날 수 밖에 없어 주택업체의 자금난은 가중될 전망이다.

실제로 최근 부도난 신일과 세종건설도 심각한 미분양으로 인해 자금난을 견디지 못한 게 주된 이유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미분양주택이 많은 충남, 부산, 경북 등에서 주택건설승인건수도 많아 이들 지역에서 분양하는 주택업체의 경우 사업포기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상황이다.

한편 민간부문과 달리 공공부문의 7월 주택건설인허가 실적은 1천427가구로 전달(8천89가구)보다 크게 감소했다.

올해 들어 7월까지 주택건설인허가를 받은 주택은 민간부문 16만2천730가구, 공공부문 1만3천554가구 등 총 17만6천284가구로 작년 동기에 비해 26% 가량 줄었다.

건설교통부는 8월이후 연말까지 주택건설이 늘어 연간 목표인 53만가구는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