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3. 6. 10:13ㆍ부동산 정보 자료실
최근 수도권과 서울 강북지역의 연립, 다세대주택이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4차 뉴타운 예상 후보지는 물론 특별한 개발재료가 없는 곳도 살 사람은 많은데 매물이 거의 없다.
가격도 상승세여서 지난 연말 대비 3.3㎡당 300만-500만원 이상 오른 곳이 적지 않다.
강남권에 비해 가격이 싼데다 대선 이후 새 정부가 뉴타운, 재개발 사업을 활성화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투자수요가 늘리고 있는 것이다.
◇ 연립, 다세대 '매물이 없어요' = 3일 창동 일대 중개업소에 따르면 이 지역 연립(빌라), 다세대주택의 경우 대지지분 기준 시세가 지난해 연말 대선을 계기로 10% 이상 올랐다.
과거 서울시 2, 3차 뉴타운 지정에서 연거푸 탈락한 만큼 앞으로 새 정부가 재개발 등을 활성화한다면 4차 뉴타운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기대감에서다.
대지지분 면적 33㎡ 미만 주택의 경우 지난 연말에 3.3㎡당 1천500만-1천800만원 하던 것이 현재 2천만원으로 상승했다.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되더라도 토지거래허가 대상에서 제외되는 20㎡ 미만의 소형 주택은 3.3㎡당 2천500만원까지 호가한다.
단독주택도 99㎡ 기준으로 대선 전 3.3㎡당 700만원에서 현재 900만-1천만원으로 올랐다.
도봉구청은 이미 뉴타운 지정을 위해 지난 달 18일부터 전용면적 50㎡, 대지지분은 세대별 40㎡ 이하의 공동주택에 대해서는 사전 심의를 받는 형태로 모든 건축행위를 제한하고 있다.
창동 대신공인중개사 백창기 대표는 "새 정부가 재재발(뉴타운), 재건축 사업을 활성화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대선 이후 특히 투자 문의가 크게 늘었다"며 "매도자들이 가격을 더 올리거나 매물을 회수해 거래가 안된다"고 말했다.
강서구 화곡동 일대도 호가가 강세다. 대지지분 33㎡ 미만 연립, 다세대의 경우 대선 이전 3.3㎡당 1천800만원이었으나 현재 2천만원으로 200만원 뛰었다.
까치공인 이성천 사장은 "전반적으로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싸고 장기적으로 개발 가능성도 있다는 판단에 따라 수요자가 몰리고 있는 것"이라며 "인근 신정뉴타운과 아현뉴타운 등지의 이주 수요까지 가세해 매물이 귀하다"고 말했다.
뉴타운 호재가 없는 곳도 강세다. 마포구 망원동의 경우 다세대, 연립 시세가 한달 전 3.3㎡당 2천500만원이던 것이 3천만원으로 급등했다.
합정동의 토지거래허가를 받지 않는 20㎡ 이하 소형은 3.3㎡당 3천300만원 선으로 한달 전에 비해 300만-400만원 상승했다.
합정.망원역 균형발전촉진지구 지정 재료도 있지만 그보다는 아현뉴타운, 가재울뉴타운 등 이주, 보상 수요가 몰리며 인근 다세대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망원동 부자동네공인중개사 이복임 대표는 "하루에도 수십통의 문의전화가 쏟아지고 있지만 매물이 귀해 거래가 어렵다"며 "최근들어 시장이 매도자 우위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 부천, 수원 등 수도권 재정비촉진지구 인근 지역이나 지정 가능성이 높은 곳도 수요자가 몰리며 가격이 강세다.
◇ 호가 급등, 투자 유의해야 = 전문가들은 주택 가격이 단기간에 뛰면서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뉴타운 지정 등 개발 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곳은 실제 가치에 비해 가격이 지나치게 고평가돼 있고, 이에 따라 투자금이 잠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뉴타운으로 지정되더라도 사업이 진행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만큼 장기 투자는 각오해야 한다.
수익성도 따져봐야 한다. 가격이 지나치게 오른 곳이나 조합원 수가 많은 곳은 투자수익이 떨어져 개발이 쉽지 않다. 분양가 상한제도 수익성을 높이는데 걸림돌이다.
J&K투자연구소 권순형 대표는 "최근 오른 가격이 상투인지 아닌지 판단이 쉽지 않다는 게 문제"라며 "안전한 투자를 원하는 실수요자라면 이미 관리처분계획이 끝난 재개발이나 뉴타운 구역을 노리는 게 낫다"고 말했다.
예스하우스 전영진 사장은 "분위기에 휩쓸려 개발 계획이 없는 곳까지 비싼 값에 투자하는 것은 무리"라며 "한강변, 역세권 등 기본 수요가 충분한 곳 위주로 옥석을 가려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