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인프라 갖춘 주택단지 `서울휴먼타운` 조성

2010. 4. 13. 13:45건축 정보 자료실

아파트인프라 갖춘 주택단지 `서울휴먼타운` 조성

이데일리 | 박철응 | 입력 2010.04.13 11:16

- "획일적 `아파트 공화국` 탈피"

- 성북·인수·암사동 단독주택지


[이데일리 박철응 기자] 서울시가 단독주택이나 다세대·다가구 등 저층 주거지를 보존하면서 아파트의 인프라를 제공하는 신개념 주거지 조성에 나선다.

`아파트 공화국`으로 불리는 서울의 획일적 주거형태를 탈피하기 위한 시도이며 성북구 성수동, 강북구 인수동, 강동구 암사동의 단독주택이 1차적으로 올해 안에 완공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보안과 방범 등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는 아파트의 장점과 골목길, 커뮤니티가 살아있는 저층 주택의 장점을 통합한 신개념 저층 주거지 `서울휴먼타운`을 조성한다고 13일 밝혔다.

◇ 저층 주택에 아파트 인프라 결합

이를 조속히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비사업 방식으로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주거환경관리사업` 조항 신설을 국토해양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주거환경관리사업의 개념은 다양한 주거공간이 공존하도록 기반시설 및 건축물이 비교적 양호한 저층 주거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시행하는 정비사업을 이른다.

서울시는 휴먼타운 대상지에 대해 CCTV, 보안등, 경비소 등을 설치하고 자체 방범조직을 지원해 안전을 강화한다고 설명했다. 또 경로당, 관리사무실, 어린이집 등 주민복리시설과 쓰레기처리시설, 친환경시설 등 생활편의시설 설치, 주차장, 공원, 산책로, 진입로 확장 등으로 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 재개발 용적률 높여주고 기반시설 기부체납

서울시는 다세대·다가구 밀집지역과 단독주택 밀집지역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추진하며 올해 시범사업 이후 성과를 분석해 사업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다세대·다가구 밀집지역은 정비예정구역 해제지역 6곳 중 주민협의를 거쳐 2~3곳을 지정하는 데, 필요한 예산은 도시·주거환경정비기금을 활용한다. 올해 상반기에 대상지 선정과 법 제도 개선에 착수해 하반기에 본격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어 내년부터는 인접한 재개발구역과 하나로 묶는 결합개발방식을 도입한다. 재개발 아파트의 용적률을 높여주는 대신 주거환경관리사업 구역에 필요한 도로 등 기반시설을 기부체납 받는다는 것이다.

단독주택 밀집지의 경우 이미 성북동 300번지 일대(107동), 인수동 532-22번지 일대(85동), 암사동 102-4번지 일대(63동) 3곳을 선정해 오는 6월까지 사업계획을 확정한 후 올해 안에 완공할 계획이다.

◇ 주민들이 직접 계획 수립..유지관리까지

이 곳들은 이미 지난해 4월부터 주민들과 전문가, 행정기관이 함께 협의체를 구성해 필요한 공공시설과 환경개선 계획을 수립해 왔다. 골목길 환경정비, 마을갤러리·어린이놀이터·소공원 조성, 담장 허물기 등이 주요 사업이다.

이 과정에서 주민 스스로 규제를 제안하기도 했다. 강동구 서원마을의 경우 취락지구로 3층까지 건축할 수 있지만 주민들 대부분이 양질의 일조 확보를 위해 2층으로 규제할 것을 제안한 것이다.

서울시는 내년에는 단독주택 밀집지 중 5~6곳 가량을 추진하고 장기적으로는 향후 4년간 자치구별로 1개소씩 선정할 계획이다. 휴먼타운은 사업 완료 후에도 주민들이 유지관리하게 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휴먼타운 조성사업은 도시의 역사문화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곳` `노후한 부분`만 솎아 정비하는 소단위 맞춤형 개발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저층주거지의 주거환경 개선으로 주민들의 불안과 불편을 해소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