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호 미만 농어촌 `미니마을' 3천개 넘어섰다

2012. 6. 10. 09:01이슈 뉴스스크랩

20호 미만 농어촌 `미니마을' 3천개 넘어섰다

5년만에 1천곳 급증…고령화로 증가세 계속될듯 소득ㆍ공공서비스 열악…도농교류에서도 `소외' 연합뉴스 | 황대일 | 입력 2012.06.10 04:57 | 수정 2012.06.10 08:18

 

5년만에 1천곳 급증…고령화로 증가세 계속될듯

소득ㆍ공공서비스 열악…도농교류에서도 `소외'

(서울=연합뉴스) 황대일 기자= 농어촌 마을의 공동화 현상이 급격히 진행돼 가구 20호 미만인 `과소화마을'이 전국에서 3천 곳을 넘어섰다.

과소화마을은 자매결연, 체험관광 등 도농교류에서 소외돼 소득여건이 매우 열악하고 공공서비스 혜택도 부족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1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어촌의 과소화 마을 실태와 정책 과제' 보고서를 보면 농어촌 인구 감소세가 최근 둔화하고 있음에도 마을 과소화 현상은 급격히 확산하고 있다.

농어촌 인구는 2010년 875만8천명으로 2005년 876만4만명보다 다소 줄었지만 감소세는 과거보다 약해졌다. 귀농ㆍ귀촌인구 증가로 향촌형 인구이동이 향도형 인구이동보다 우세해진 결과다.

인구 감소세 약화에도 오지마을을 중심으로 과소ㆍ공동화 현상은 급격히 악화했다.

2010년 기준으로 과소화마을은 3천91개로 전체 농어촌 마을 3만6천496개의 8.5%다. 2005년 2천48개(5.7%)에서 5년 만에 무려 1천개 이상 늘어났다.

과소화마을은 대도시 주변을 제외한 농어촌 전체로 확산하고 있다.

2005년 과소화 마을이 한 개 이상 분포한 읍ㆍ면이 전체 읍ㆍ면의 약 47%인 661곳이었으나 2010년에는 전체의 63%인 884곳으로 늘어났다.

과소화마을 증가세는 면 단위 농어촌에서 두드러졌다. 과소화 마을의 59.1%인 1천827곳이 면 단위에 있다.

과소화마을은 읍ㆍ면 소재지에서 멀어질수록 더 많다. 소재지에서 차량으로 20분 이상 걸리는 마을의 16.2%가 과소화마을이다. 5분 미만 마을은 67.0%가 100호 이상 마을이다.

시ㆍ도별로는 전라북도, 전라남도, 충청북도 순으로 많다. 전북은 전체 농어촌 마을 중 20.1%가 과소화마을이다.

과소화마을은 자매결연, 체험관광, 농수산물 직거래, 음식물 판매ㆍ숙박 등 도농교류에서 소외됐다. 농어촌 마을의 약 20%가 도농교류에 참여했으나 과소화마을의 참여율은 절반 수준인 11.2%에 그쳤다.

농수산물 판매나 농어촌관광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마을 단위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갖춘 비율은 3.2%로 일반 마을보다 매우 낮다. 영농조합, 농업회사, 작목반 등 생산자조직의 구성 비율도 25.8%로 일반 마을 42.4%보다 훨씬 저조하다.

과소화마을의 상당수는 소득 여건이 열악하여 인구 유출이 지속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과소화마을은 생산자조직이 부족하고 도농교류가 취약한 탓에 소득 여건이 열악한 것은 물론, 10.3%는 기초생활서비스 접근성마저 어려운 상태다. 대중교통편이나 쓰레기 수거와 같은 공공서비스 여건 역시 매우 불리하다.

과소화 마을의 이런 문제점을 타개하려면 공동체 기능을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개별 마을 차원에서 해법을 찾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복수 마을을 연계하여 공동체 기능을 확충하고 삶의 질 향상 정책을 충실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과소ㆍ공동화, 도시민 정주 수요 증가 등 변화에 대응하도록 농어촌 마을을 리모델링하고 주민의 주거환경 개선을 중심으로 한 생활환경 정비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방안도 제시했다.

had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