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1.02 14:46
"김정은, '핵단추가 현실'이라는 으스스한 이야기도 해
北 평창 참가나 한미훈련 연기로 안보환경 변하지 않아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집단을 100km 밖에 두고 하는 축제"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801/02/2018010201608_0.jpg)
이낙연 국무총리가 2일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를 환영하며 발빠르게 후속 조치에 들어간 청와대·정부의 대응과는 다소 결이 다른 반응을 내놓으며 '신중할 것'을 주문했다. 북한이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조건으로 '또 다른 대접'을 요구할 수 있다고 우려했으며, 북한의 올림픽 참가나 한·미 합동군사훈련 연기에도 북핵 위협이라는 안보 환경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18년 정부 시무식에서 한 신년사에서 전날 김정은 신년사를 언급하며 "그 범위나 레벨이 어떻게 될 지는 차치하고, 남북 당국 간 대화는 오랜만에 열릴 것"이라면서 "만만치 않은 대화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북한은 또 다른 대접을 요구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핵을 (보유)하겠다고 주장하기 때문에…"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상상력과 지혜를 발휘하고 또 용기를 내서 이 기회를 잘 활용했으면 좋겠다"고 통일부 등에 주문했다. 북한이 남북 관계 개선을 조건으로 북한에 대규모 경제 지원과 한·미 군사동맹 이완, '핵 보유국 인정' 등을 들고 나올 가능성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됐다.
이 총리는 또 김정은의 신년사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께서 줄기차게 말씀하셨던 것에 대해 응답이 왔다고 볼 수도 있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핵 단추가 당신 책상 위에 있는 것은 위협이 아니라 현실이다' 하는 으스스한 이야기도 계속됐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로)안보 환경이 달라질 것 같지는 않다"면서 "한·미 합동군사훈련 연기와 김 위원장의 이번 신년사가 분리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런다고 하더라도 안보환경이 변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북한의 핵 개발과 미사일 도발에 큰 브레이크가 걸리지 않을 것이란 예상으로 읽힌다.
이 총리는 "평창은 비무장지대에서 딱 100㎞ 떨어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집단을 100㎞ 바깥에 두고서 인류가 벌이는 스포츠 대전, 평화와 번영을 구가하는 축제라는 점을 우리가 역발상으로 충분히 활용하길 바란다"고 했다.
이 총리는 현 청와대 참모진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수적이고 냉철한 시각을 갖고 자신의 의견을 피력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